톨스토이, 도덕에 미치다 - 톨스토이와 안나 카레니나, 그리고 인생
석영중 지음 / 예담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스포일러 포함


  재작년부터 뒤늦게 톨스토이에 빠져들어서 톨스토이의 작품뿐 아니라 톨스토이 작품에 대한 해설들까지 찾아보게 되었다.  한동안 『전쟁과 평화』와 『안나 카레니나』에 대해 매일 검색해 볼 정도로 열심히 관련 자료들을 찾아 봤는데, 그러면서 러시아 문학 연구자 석영중 교수님의 글들을 자주 보게 되었다. 그리고 석영중 교수님이 『안나 카레니나』를 중심으로 톨스토이의 문학과 철학을 해설한 이 책 『톨스토이 도덕에 미치다』를 읽게 되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톨스토이의 삶은 그의 작품과 많이 닮아 있다는 것을 또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책의 제목대로 톨스토이는 도덕에 강박적일 정도로 집착했다. 착하게 살아야 한다, 사랑해야 한다,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남을 위해서 살아야 한다. 톨스토이의 소설 속 주인공들이 추구하던 삶은 톨스토이가 추구하던 삶과 같았다. 나 자신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을 위해 살아야 한다고 친구 안드레이에게 열변을 토하던 『전쟁과 평화』의 피에르도, 삶의 이치는 이미 하늘에서 주어진 것이니 그 이치에 따라 착하게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깨달은 『안나 카레니나』의 레빈도 톨스토이의 이러한 면모를 그대로 담은 인물들이다. 육체의 욕망이 너무 강해 방탕하게 살다 회개했다는 것, 열심히 살아가려다가도 다시 유혹에 빠지는 것까지 피에르와 레빈은 톨스토이와 닮아 있다. 시대를 초월한 근본적인 가치인 선을 실천하며 살아가려는 톨스토이의 노력은 존경할 만하다.


  그러나 톨스토이의 문제는 자신이 믿는 부분적인 진실을 진리 그 자체로 단정했던 것이라고 이 책은 지적한다. 그는 자신이 죄악으로 믿는 것을 가차없이 단죄했다.  육체의 욕망과 쾌락을 죄악으로 생각했던 톨스토이는 자신의 소설 속에서도 육체의 쾌락을 따라 살았던 인물들(ex) 『전쟁과 평화』 의 엘렌과 아나톨리, 『안나 카레니나』의 안나와 브론스키)에게 지나치리만큼 가혹한 결말을 안겨준다. 도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예술 외의 예술은 이해하지 못하고, 자신이 이해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쓸모없고 해로운 것으로 치부한다. 그리고 인생 후반기에 들어서는 작가로서 부와 명성만 추구했던 것을 반성한다며 이전의 걸작들인 『전쟁과 평화』와  『안나 카레니나』마저 쓸모없는 작품이었다고 부정했다. 열세 명이나 되는 아이를 키워야 하는 아내의 사정은 돌아보지도 않고 귀족 작위와 영지, 재산마저 다 내려놓겠다고 해서 아내와 갈등을 빚었다. 저자는 이런 톨스토이와 그의 저작들에 '편집증적이다', '짜증스러운 대목도 있다'는 말도 서슴없이 한다.


  또한 톨스토이의 이상적인 삶, 이상적인 결혼은 지극히 가부장적이라는 것도 이 책에서 지적된다. 『안나 카레니나』에서 레빈과 키티는 각 단어의 첫 글자만 나열한 문장을 맞추는 놀이를 하면서 서로의 마음을 알아차리고 사랑을 이루게 된다. 그들은 안나와 브론스키의 변질되어 가는 사랑과는 대비되는 이상적인 부부로 나온다. 하지만 레빈은 결혼 뒤에 지극히 자기중심적인 태도로 키티를 바라보고, 키티의 입장에서 생각하지 않는다. 둘은 끊임없이 다투고 부딪치면서도 서로 대화하고 이해하면서 성장해 간다. 그러나, 이 또한 레빈이 성장해 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을 뿐이지 키티가 성장해 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지 않다는 것을 저자는 지적한다. 『안나 카레니나』의 키티도, 『전쟁과 평화』의 나타샤도 결국에는 남편과 자식들에게 헌신하는 현모양처로 살아갈 뿐이다. 반면 미모를 잃지 않으려 더 이상 아이를 낳는 것을 거부하는 안나는 타락한 인물로 나오고 몰락한다. 현실의 톨스토이 또한 자신의 인생관과 도덕을 아내에게 강요하기만 했지, 아내를 이해하고 아내의 입장에서 생각하려 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마침내 결혼에 완전히 회의를 느끼고 결혼을 하지 않는 게 좋다고까지 주장하게 된다.


  자신은 방탕한 성생활 끝에 사생아까지 두었으면서 금욕을 주장했고, 사교계를 타락의 소굴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사교계의 화려함을 동경했으며, 자신의 욕망과 도덕 사이에서 방황했던 톨스토이. 그의 도덕관은 지나치게 이분법적이고 독선적이었다. 말년으로 갈수록 그는 점점 더 독선적이고 과격한 면모를 보였다. 하지만 피에르와 레빈에게서 보이는 순수한 선의, 선하게 살려는 의지는 선하게 살아가기 힘든 세상에서 여전히 감동을 준다. 과격한 면, 독선적인 면, 가부장적인 면을 걷어낸 뒤에 남는 그 선함은 여전히 우리가 추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 또한 피에르나 레빈, 톨스토이처럼 방황하고 타락할 수 있겠지만 그럼에도 선하게 살아가는 것, 선하게 살아가려는 마음은 우리 자신을 지키는 힘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