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픈 북 - 젊은 독서가의 초상
마이클 더다 지음, 이종인 옮김 / 을유문화사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어떤 한 인간의 인격적인 성장과 성숙을 위해서는 여러가지의 자양분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증에서도 책이라는 존재는 다른 어떠한 요인보다도 전체적인 인성을 좌우하는데 큰 폭으로 작용할 것이다. 어려서 읽은 책하나가 한사람의 평생을 좌우할수도 있으며, 힘들고 어려웠던 시기에 만나는 책 한권의 의미가 또한 남다를수 있기에 더욱 그러할 것이다.
이 책 <오픈북>은 현재 워싱턴 포스트신문에 문학기사와 서평을 집필하고 있는 미국의 대표적인 서평가이기도 한 마이클 더다가 자신의 유년시절부터 대학 3학년때까지의 독서기록을 자신의 삶과 함께 기록한 책이다. 이 책에는 실로 엄청난 양의 책 이야기가 나온다. 어릴적부터 몸이 약했고 친구도 없었던 소극적인 소년이었기에 더다는 책이라는 존재와 친밀해지기 시작한것으로 보인다. 그가 기억하는 자신의 모습은 뚱뚱하고 근시에다가, 수줍음 많고, 공부성적마저도 신통치 않은데다가 운동마저도 못했다고 한다. 또한 거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심한 안짱다리라는 신체적 컴플렉스까지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한 컴플랙스는 그 사실을 조롱하던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원망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후에 더다는 기억한다. 세상의 모든 아버지처럼 더다의 아버지 역시 아들이 세상의 큰 인물이 되기를 바랐고 그것이 사랑의 표현이었으며, 책을 읽어주던 모습에서 말의 아름다움과 환기력에 눈을 뜨게 해 주었음을. 또한 더다는 어머니에게서 책읽기가 감각적 황홀로 만들어 주었다고 기억한다. 자신이 책을 펼칠때마다 글이 주는 즐거움을 깨닫게 해준 것이었다.
로레인이라는 이리호의 호안마을은 소년 더다의 유년이 묻어있는 곳이다. 그곳에서 더다는 대부분의 유소년기를 보내게 된다. 그리고 서서히 더다는 활자화된 단어 모든 곳에서 매혹을 느끼는 소년이 되어가고 있었다. 그러한 사실들은 더다가 친척집이나 친구집 그 어딜가든 책이나 어린이용 잡지등을 찾아 헤메이기 시작하던 모습에서 찾을 수 있기도 하다. 보이는 대로 막 읽기 시작하던 그는 비로소 유소년소설들을 거쳐 공상과학소설에 빠져들면서 아직까지 자신의 기억속에 남아있는 책들을 만나기 시작한다. 또한 그것 즉, 아무책이나 닥치는대로 읽은 독자들에 대해 더다는 주위에 좋은 책이 얼마든지 있으며 자신의 유년에서 그것을 증명하기도 한다.
이 책 자체가 더다 자신의 책과 함께 했던 삶을 기억하고 있기에 어쩌면 한 개인의 회고록을 보는듯한 착각에 빠지기도 한다. 하지만 늘 나이에 걸맞지 않고 항상 앞을 바라보던 더다의 독서는 그를 탄탄하고 지성있는 성인으로 만들어주는 밑거름이었을 것이다. 더다의 기억속에 남아있는 독서의 황금기이기도 한 청소년 초기에 그는 카네기와 월든을 만나며 감동을 느낀다. 월든의 저자인 소로의 참나무처럼 투박하기도 하고 버드나무 가지처럼 부드럽고 사랑스러운 문장은 아직도 더다가 기억하는 명문이기도 하다.
고교시절 때로는 그는 어려운 책을 읽으려 애쓰며 독립적인 사고를 시작하면서 선생에게 도전하려는 자세를 갖기도 한다. 어찌보면 당시 더다의 독서편력으로 봤을때 그 자신이 벌였던 도발적인 행위들 즉, 교사들보다 많은 책을 읽었다고 자부하던 그러한 건방졌던 생각을 뒤로하며 더다는 자신의 독서일기를 계속 써 내려간다. 가난한 집안의 아들로 태어나 로레인의 명문대인 오벌린대학에 장학생으로 입학하게 된 이후 더다는 현실과 자신 즉, 부유한 집안출신이거나 특출난 천재들을 만나며 때로는 자신을 초라하게 느끼게도 된다. 또한 전공을 정하지 못하고 이리저리 헤메이며 방황하던 시기 아버지의 방문은 더다에게 커다란 힘으로 다가온다. 평생동안 자식을 칭찬한번 해 본적 없고 우수한 성적을 받아와도 축하한마디 던져주지 않던 그의 아버지는 눈물을 흘리며 대학생활의 어려움을 호소하던 아들에게 아마도 평생동안 그를 보호하고 강인하게 만들기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은 다했음을 또한 더다는 기억하고 있다.
마이클 더다는 소년시절 수백권의 모험스토리와 전기를 읽었고, 고등학생이 되면서 카네기, 패디먼, 애들러와 만나면서 고전에도 눈을 뜨게 되었으며 마침내 대학에 들어와서 그가 고교시절 철없이 교사들에게 덤벼들었고 궁극적으로 꿈꾸던 비평을 발견하게 된다. 또한 그러한 그의 과정들은 어려운 생활여건에서 꿈을 잃지 않았던 그의 의지이기도 했다. 어린날의 독서, 유년시절의 좋은 책과의 만남은 언제 이야기하더라도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더다의 이 여정을 따라가보며 우리들은 더다의 삶을 함께 했던 수 많은 책을 만나보는 즐거움을 얻기도 한다. 이 책을 통해 작은 책 하나가 주는 의미를 다시 한번 발견해 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