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광인 - 상 - 백탑파白塔派, 그 세 번째 이야기 백탑파 시리즈 3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늘 개혁과 혁신이라는 단어는 김탁환의 일명 '백탑파'시리즈를 아우르는 공통적인 코드였다. 앞선 <방각본 살인사건>에서 처음 등장했고 <열녀문의 비밀>을 거쳐낸 젊은 그들 백탑파는 탑골 백탑아래 모여 모여 시문을 나누고 경세를 논하던 새로운 지식인 집단이었다. 그들은 기존의 성리학 중심의 전통 수구집단에 맞서 실용지식과 현실적인 이치를 추구하며 그들의 이상을 펼칠 기회를 현명하고 결단력있는 왕 정조와 함께 펼치려 한다. 그러나 그때마다 기존의 보수세력에 제지를 당하며 그 기세가 한풀 꺾이기도 한다. 김탁환의 백탑파 시리즈 세번째 작품 <열하광인>은 그러한 정조의 문체반정을 계기로 삼아 탄생한다.

백탑아래 시문을 논하던 그들의 열망과 비원은 선진문물과 결합하고 또한 그러한 사상이 집대성되어 탄생한 결정체가 바로 연암의 <열하일기>이다. 그리고 이 서책은 도성의 젊은 서생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끌게 된다. 하지만 이 책은 그 품과 격을 문제 삼은 정조에 의해 금서로 분류되고 만다. 정조는 이명방에게 <열하>를 지지하는 백탑서생들에게 자송문을 받아올 것을 하명한다. 그것으로 그들의 의지를 꺾고자 했음이다. 이명방은 정조와 독대한 자리에서 열하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싶어한다.

"<열하>는 단순한 연행의 기록이 아니다. <열하>는 대국의 광대하고 세밀한 문물에 대한 예찬이 아니다. <열하>는 소중화에 침윤된 조선을 향한 예리한 비판이 아니다... <열하>는 <열하>이다. <열하>이전에 <열하>와 같은 서책이 없었고 <열하>이후에도 <열하>와 같은 서책은 없으리라. 이 꽉 짜여진 동어반복에 숨이 막혀오는 서책, 그것이 바로 <열하>인 것이다."

연암의 제자이자 백탑파 시리즈의 주인공 금부도사 이명방은 이 문제의 금서 <열하>에서 가르침을 얻고 그 정신을 이어나가기 위한 독회 열하광의 한사람이다. 그들은 이미 <열하>를 이연이나 읽어 왔으며 상세한 주석을 붙인 <열하주해>까지 펴낸 비밀모임이기도 하다. 그날도 어김없이 비밀모임을 갖기 위해 홍인태의 서재 '억권루'의 대문 앞에서 정체를 알수없는 자객을 만나게 되고 열하광들은 뿔뿔이 흩어져 버리게 된다. 그렇게 쫓기던 이명방은 홍인태와 함께 열하광의 일원인 역관 조명수의 죽음을 목격한다. 함께 술자리를 하던 걸승 덕천마저 눈앞에서 사라진 이후 이명방은 정조의 명대로 정유 박제가와 연암 박지원 그리고 검서관인 청장관 이덕무를 방문한다. 그러나 자송문 쓰기를 거부하던 이덕무는 혼미한 정신속에서 써 내려간 자신의 자송문을 찢어버리곤 쓰러져 버린다. 명방은 그에게 준비해간 환약을 넣어주지만 이덕무는 다음날 싸늘한 시체가 되어 있다. 여섯의 열하광중 명방과 명방의 연인 명은주 그리고 홍인태만이 남았다. 이 연쇄살인의 현장에 그때마다 개입된 명방은 범인으로 몰리고 차가운 시선으로 바라보는 정조에게서 하루의 말미를 얻는다. 명방이 범인이라고 생각했던 홍인태마저도 폭약으로 인해 사라져 버린다. 절망한 명방앞에 명방의 다정한 벗이자 조선 최고의 탐정 김진이 마침내 나타난다.

이전의 작품에서 정조가 백탑 서생들에게 다정다감하고 보다 개혁적인 힘을 주었다면 이 작품 <열하광인>에서 비춰지는 정조의 모습은 약간 달라 보인다. <열하>를 금서로 단정하고 <열하>를 소품으로 한 글을 짓는자는 과거에 응시할 권리조차 박탈하며 강력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정조 역시도 <열하>가 상당히 합당하며 높은 글임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지나치게 완물상도에 젊은 서생들이 빠져드는 경계하기 위해 자송문을 받기도 하고 연암을 경계하기도 했던 모습을 보였던 것이다.

명방은 사라져간 백탑의 꿈을 자신이 평생 소원하던 매설을 지으면서 기억해 본다. 그리고 꽃과 함께 사라져 간 김진에게 이렇게 이야기 한다.

"군왕이 군왕의 편이었다면, 지금 나는 내 기억의 편이라고. 그리고 그 기억을 함께 나눈 백탑 서생의 편이라고. 나를 알아주지 않는 이들 앞에서 죽음으로써 분노를 씻어내고 싶다고 말했던 자도 있었다. 나는 이 한권의 이야기오 그 겨울 밀어닥친 울분의 뜨거움과 깊이를 대대손손 전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