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 세종 - 마음을 지배하니 세상이 나를 따른다
백기복 지음 / 크레듀(credu)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우리는 이제 바야흐로 연말 대선 정국에 휩싸여 있다. 몇 년동안 나라를 이끌어 갈 지도자를 선별하는 과정이기에 모두의 관심이 집중되는 대목이기도 하다. 그 흐름에 맞춘 것인지는 몰라도 TV 역사드라마들 역시 고구려 일색에서 왕이라는 타이틀로 그 소재의 변화를 택하고 있다고 한다. 정조대왕 - 이산 이라든가 연산군시절 내시 김처선의 이야기를 다룬 왕과 나, 그리고 대왕 세종... 여기서 눈길을 끄는 것이 바로 대왕 세종이다. 세종대왕은 그간 TV드라마로는 인기를 끌지 못했다. 물론 그 이유야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사건 사고의 연속이 아닌 평화롭고 평온한 날들의 연속에 있었을 것이다. 그것은 그간 흔히 우리가 보아왔던 궁중암투라든가 권력을 둘러싼 음모 등을 찾아 볼 수 없었다는 얘기가 된다.

세종대왕은 고금의 역사가 인정하듯 우리역사 최고의 군주이자 최고의 CEO였으며 무엇보다도 세계에 빛나는 우리의 문화유산 한글을 창제한 대학자이기도 하다. 집현전 학사들을 통한 훈민정음의 창제 뿐만 아니라 장영실로 대표되는 과학기술이나 김종서, 이징옥으로 대표되는 북방개척을 통한 영토확장, 정초 등의 농사직설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농업의 발달, 박연으로 대표되는 아악의 정리 등 세종의 업적을 말하자면 아마도 밤을 세워도 모자랄 정도이며, 세종은 그 모든 분야를 섭렵하고 이끌어낸 창조적인 인간이기도 하다. 또한 인재를 바로 볼줄알고 가려낸 인재를 다루는데 있어 대왕만의 방법을 통해 경직된 군신간의 상하관계에서 보다 발전적인 대화의 상대로 이끌어 낸 것을 그 모든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 책 <대왕 세종 - 마음이 지배하니 세상이 나를 따른다>는 그 수많은 세종의 치적 가운데서도 집현전 학사들과의 일화를 통해 세종의 인간경영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책에 소개된 신하들이 집현전 학사였지만 모두 대왕의 의견을 그대로 따라 행하기만 하는 학자들은 아니었다. 그 안에는 치열한 논쟁이 있기도 했고  상소를 통해 대왕의 의견에 노골적으로 반대하기도 했다. 실제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는 끝까지 대왕과의 반대노선을 걸었다. 하지만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닌 꼿꼿한 자신의 신념이 있었기에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고 대왕 역시 그 치열한 공방속에서도 끝까지 절대자라는 직권을 이용하지 않고  진심으로 그를 대하고 논리로서 자신의 의견을 관철시키려 노력했을 뿐이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권력자의 모습은 자신의 절대적 지위를 이용해 반대급부를 무시하고 오로지 독단적인 정책을 펴왔음을 우리는 보아 왔다. 최만리나 김문을 통해 우리는 스스로를 다스리는 대왕의 마음경영의 모습을 되뇌여야 할 것이다.

세종의 한글창제에 공헌한 인물들이 집현전 학사들임은 우리는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이들을 발굴해 내고 이들의 연구를 물심양면으로 지원해준 이 또한 대왕임을 우리는 잊지말아야 한다. 인재에 대한 지원이야 말로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리더십의 덕목이기도 하다. 또한 대왕은 그 스스로도 무던히 자기계발에 대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태종의 3남으로 태어나 형인 양녕과는 달리 세자라는 굴레에서 벗어나 어려서부터 자유롭게 학문을 접해 대왕 자신이 학문적으로도 누구 못지 않은 수준의 학자이기도 했다. 

"... 임금은 학문을 좋아하고 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아서 항상 책에서 손을 놓지 않았으며, 수라를 들 때에도 반드시 책을 펼쳐 곁에 놓고 보았다."

결국 대왕은 실력과 성과를 중시했으며, 실력을 배양해 성과를 낼 수 있다면 무엇이든지 해야한다고 믿었다. 그랬기에 집현전의 모든 학사들이 대왕을 따라 배우기에 늘 바쁜 나날의 연속이기도 했던 것이다. 

세종은 어찌보면 아픔을 딛고 일어선 인물이기도 하다. 부왕인 태종에 의해 외가가 멸족을 당했으며 자신의 처가까지도 해를 입어 장인인 심온이 죽임을 당하기까지 했다. 또한 그에 반대하던 자신의 형 양녕이 세자에서 내쳐지는 모습까지 보며 즉위 한 이후에도 부왕의 섭정 아닌 섭정에 따라야 했다.  그 모든 아픔을 딛고 대왕은 양녕과 효령 자신의 두형을 충심으로 섬겼으며 무엇보다도 백성을 사랑하는 애민정신으로 흉흉했던 민심에 다가갔다. 이러한 대왕의 노력은 마침내 자신의 시대를 조선의 르네상스를 이끈 초석이기도 했던 것이다. 

문종을 거쳐 단종이 즉위하고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는 과정에서 집현전의 학사들은 자신을 발굴하고 나라의 동량으로 키워 낸 대왕의 은혜를 잊지 못한다. 그리고 그들은 수양의 칼 아래 쓰러지면서 사육신이라는 역사에 영원한 이름으로 그 자취를 남긴다. 비록 그들의 선택은 정인지나 신숙주처럼 부귀와 출세를 쫓는 자들과는 달랐지만 이 책에 들어있는 대왕과의 일화를 통해 무엇이 그들에게 그러한 선택을 하게 해 주었는지 깨닫게 해 준다.

임종전날까지 나랏일과 연구에 몰두했던 대왕의 생애를 돌아보며 그가 왜 이렇게까지 추앙받으며 후대의 모범이 되는 군왕으로 기억되는지 다시 한번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연구열 만큼이나 열정적으로 자신의 생에 충실했던 그의 이름은 이도이며 우리는 그를 세종대왕이라고 부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7-08-20 08: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퍼님, 오랜만에 리뷰 읽게 되는 것 같네요. 개인적인 아픔을 딛고 애민정신을
발휘한 성군이자 조선의 르네상스 초석이 된 인물로 그리는군요. 잘 읽었습니다.^^
꾸욱.

재퍼 2007-08-21 14:41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혜경님. 이렇게 방문해 주셔서...
좋은 소개가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시간이 없어서 다른 리뷰는 잘 읽지 못하는데 혜경님 블로그는 꼭 가봐야 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