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 단편소설 전집 4 '저녁의 해후'에 실린 '사람의 일기'(1985) 속 1인칭 화자의 직업은 소설가로서 저자 자신의 속마음과 자의식을 솔직하게 토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설의 외피를 쓴 산문 같은 느낌도 든다. 정미는 친구의 딸이다.

Girl Friends, 1952 - Leonor Fini - WikiArt.org






여고 동창생으로 흉허물 없는 사이였지만 손발이 닳도록 고달프게 사는데도 늘 가난하기만 한 친구란 때로는 부담스러울 적도 있었다. 이 나이에 변두리에 겨우 중산층 아파트 하나 쓰고 사는 내 살림 형편을 부자로 보는 친구란 솔직히 말해서 곤혹스러웠다.

정미가 시집을 가다니. 나도 정미가 결국 보통 여자들처럼 살게 된 게 반갑기도 하고 서운하기도 했다. 정미는 좀 특별한 아이였다.

언젠가 어떤 여성단체에서 마련한 ‘독자와의 대화’란 모임에 소설가로서 참석한 적이 있는데 그때 나는 소설이 독자에게 끼칠 수 있는 가장 큰 미덕은 타인의 삶을 자기 삶처럼 체험케 하는, 즉 남과 입장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이라고 공언했었다. 소설이 독자에게 그런 능력을 줄 수 있는 거라면 그런 소설을 꾸며내는 소설가는 마땅히 그런 능력의 도사여야 하련만 도무지 그 능력이 말을 들어주지 않았다. 나는 내가 나불댄 말에 부끄러움을 느꼈고 화도 났다.

옥바라지를 시킨 것 외엔 정미는 나무랄 데 없는 딸이었다.

이런 얘기 저런 얘기 해볼수록 핍박받는 사람들에 대한 정미의 사랑과 책임감은 조금도 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나의 가냘픈 작가정신도 그런 것이 줄기를 이루고 있다고 자부해왔건만 정미의 투박한 진실성 앞에선 어딘지 간사스럽고 가짜스러워지는 것 같았다. 이론적으로도 정미한테 끌렸다.

나는 겨우 날카롭고 강한 걸 이길 수 있는 것은 더 날카롭고 더 강한 힘이 아니라 유하고 부드러운 것이라는 노자(老子)의 아류쯤 됨직한 방법론으로 체면을 세우곤 했다. 그럴 때 정미는 노자가 생전에 웃었음직한 더할 수 없이 질박한 미소로써 대답을 대신하곤 했었다.

친구가 외로움을 덜고 갔는지 더 큰 외로움을 안고 갔는지 헤아릴 겨를도 없었다. 행여 영향을 끼칠 말이나 책임질 말을 했을까봐 돌이켜보면서 문득 자신에 대해 매우 비위가 상했다. - 사람의 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앤이 초록지붕 집에 온 달이 6월. 이제 이 달 6월은 일주일 남았다. 올해의 6월아, 잘 가.



ott에서 애니메이션 '안녕, 앤'(Before Green gables)을 발견하고 좀 봤다. 초록지붕 집에 오기 전의 어린 앤 이야기. '빨강 머리 앤' 전사. 원작인 책도 있다.


 



부엌 창은 동쪽과 서쪽으로 나 있었다. 뒷마당이 내다보이는 서쪽 창으로 부드러운 6월 햇살이 한가득 쏟아져 들어왔다. 반면 동쪽 창은 포도 넝쿨로 파랗게 뒤덮여 있어서, 왼쪽 과수원에 활짝 핀 하얀 벚꽃과 개울 옆 골짜기 아래에서 가지를 늘어뜨린 늘씬한 자작나무만 힐끗 보였다. 마릴라는 햇빛이 별로 달갑지 않아 부엌에 앉을 때면 늘 동쪽 창가에 앉았다. 진지하게 임해야 할 세상에서 햇빛은 너무 가볍고 허황되게 보였다. - 1장

아, 작고 불쌍한 나무들아! 넓고 울창한 숲에서 다른 나무들과 어우러져 자라면, 작은 이끼와 6월의 방울꽃들이 뿌리 위를 덮고, 멀지 않은 곳에 개울이 흐르고, 새들이 너희 가지에 앉아 노래해 주면, 훨씬 더 크게 자랄 수 있을 텐데. 그렇지? 하지만 여기서는 그럴 수가 없구나. 나는 너희들 마음을 잘 알아, 작은 나무들아. - 2장

앤은 무릎을 꿇고 앉아 6월의 아침을 물끄러미 바라봤다. 앤의 눈은 환희로 반짝였다. 아, 정말 아름다워! 이렇게 예쁜 곳이 또 있을까? 이런 곳에 살 수 없다니! 앤은 이곳에 사는 상상을 해 봤다. 이곳에는 상상할 거리가 가득했다. - 4장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4-06-23 17: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추억 돋네요! 저희집에 빨간 머리 앤 10권 있다고 말씀드렸던가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제 서곡님의 빨간 머리 앤 페이퍼 줄줄이 올라오는 거 맞죠? 기대됩니다!

서곡 2024-06-23 17:33   좋아요 1 | URL
우아 대단하십니다 ㅎㅎㅎ 헐 줄줄이요??? ㅋㅋㅋ
 


[김형경의 뜨거운 의자]독이 든 양분, 독이 되는 부모 https://v.daum.net/v/20150322212715535





미국 정신분석학자 마이클 아이건은 <독이 든 양분>의 결론 대목에서 이렇게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서로에게 양분을 주며 살아간다. 아이를 낳아 기르고, 창조 활동을 하고, 도시와 문화를 건설하고, 그 모든 노력들에 애정과 양분을 준다. 양분을 주는 우리의 노력이 사회적이고 심리적인 독소를 포함하고 있고, 우리 자신도 다양한 독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가 직면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일종의 도전이다." - P1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치매를 앓는 시어머니와 한 집에 사는 며느리가 나오는 박완서 작가의 단편 '해산바가지'(소설집 '저녁의 해후' 수록)로부터




박꽃 By Shizhao - Own work, CC BY-SA 2.5, 위키미디어커먼즈


[네이버 지식백과] 해산바가지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 한국현대문학, 2013. 11., 김동현, 정선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411850&cid=41773&categoryId=50391





그분의 망가진 부분이 육신보다는 정신이었다는 걸 알아차린 건 그후였다. 우리는 그걸 서서히 알아차리게 됐다. 처음엔 아이들 이름을 헷갈려 부르는 정도였다. 노인들이 흔히 그러는 걸 봐온지라 대수롭지 않게 알았다. 그러나 바로 가르쳐드려도 믿지를 않고 한사코 자기가 옳다고 주장하는 건 묘하게 신경에 거슬렸다.

하루 이틀도 아니고 허구한 날 같은 말에 같은 대꾸를 해야 된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었다. 더구나 그 빈도가 하루하루 잦아지고 있었다. "쌀 씻어놓았냐?" "네." "쌀 씻어놓아라. 저녁때 다 됐다." "네, 씻어놓았다니까요." "쌀 씻어놓았냐?" "씻어놓았대두요." "쌀 씻어놓았냐?" "쌀 안 씻어놓으면 밥 못 할까 봐 그러세요. 진지 안 굶길 테니 제발 조용히 좀 계세요." 이렇게 짜증이 나게 마련이었다. 그렇다고 그 줄기찬 바보 같은 질문이 조금이라도 뜸해지거나 위축되는 것도 아니었다.

나는 내가 숨쉬기 위해 매일 밤 그분을 죽였다. 밝은 날엔 간밤의 내 잔인한 소망을 부끄러워했지만 내 잔인한 소망은 매일 밤 살쪄갔다. 그 기운을 조금이라도 죽일 수 있는 방법은 신경안정제밖에 없었다. 은밀히 먹던 그 약을 남편 앞에서 당당히 입에 털어넣었고 분량도 여봐란듯이 늘려갔다. 그가 약을 빼앗으려는 시늉을 하면 마귀처럼 무섭게 이를 갈며 덤볐다.

"괜히 이러지 말아요. 이 약 없으면 내가 당신 어머니를 죽일거예요. 그래도 좋아요? 그것보다는 당신 어머니가 나를 죽이는게 나을걸요. 그게 낫다는 걸 알기 때문에 이 약을 먹는단 말예요. 이래도 당신 말릴 수 있어요?"- 해산바가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이버 지식백과] 한계령 (낯선 문학 가깝게 보기 : 한국현대문학, 2013. 11., 김동현, 정선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411870&cid=41773&categoryId=50391


By User:콩가루 - Own work, CC BY-SA 4.0, 위키미디어커먼즈


[소소한 도서관]'좋은 나라'로 갈 수 있을까..양귀자 '원미동 사람들' https://v.daum.net/v/20171213171138305


'한계령'(1987)은 '원미동 사람들' 마지막 수록작이다.






마음이 심란한 까닭에 일손도 잡히지 않았다. 대충 들춰보았던 조간들을 끌어당겨 꼼꼼히 기사들을 읽어나가자니 더욱 머리가 띵해왔다. 신문마다 서명자 명단이 가지런하게 박혀 있고 일단 혹은 이단 기사들의 의미심장한 문구들이 명멸하였다. 봄이라 해도 날씨는 무더웠다. 창가에 앉으면 바람이 시원했다. 2층이므로 창에 서면 원미동 거리가 한눈에 내려다보였다. 행복사진관 엄씨가 세 딸을 거느리고 시장길로 올라가고 있는 게 보였다. 써니전자의 시내 아빠는 요즘 새로 산 오토바이 때문에 늘 싱글벙글이었다. 지금도 그는 시내를 태우고 동네를 몇 바퀴씩 돌고 있었다. 냉동오징어를 궤짝째 떼어온 김반장네 형제슈퍼는 모여든 여자들로 시끄러웠다. 김반장의 구성진 너스레에 누가 안 넘어갈 것인가. 오늘 저녁 원미동 사람들은 모두 오징어요리를 먹게 될 모양이었다. 그들이 아니더라도 거리는 소란스럽기 짝이 없었다.

부천시 원미동이 고향이 될 어린아이들이, 훗날 이 거리를 떠올리며 위안을 받을 꼬마치들이 쉴새없이 소리 지르고, 울어대고, 달려가고 있었다. - 한계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