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부아르, 여성의 탄생'(케이트 커크패트릭 저/이세진 역)으로부터 아래 옮긴다.



Two Girl Friends, 1946 - Yiannis Moralis - WikiArt.org


보부아르가 친구 자자 이야기를 쓴 자전적 소설이 백수린 작가의 번역으로 5월에 출간되었다. 제목은 '둘도 없는 사이'.





집에서 받는 스트레스는 점점 심해졌지만 학교에서는 여전히 안정감을 느낄 수 있었다. 게다가 달콤한 고독에 견줄 만한 우정이 있었다. 자자는 시몬에게 기쁨과 신뢰를 주었다. 둘은 서로 경쟁하면서 열심히 공부했고 선생님이나 다른 아이들에게 "단짝"으로 통했다.

두 소녀는 관념적인 것을 좋아했다. 시몬은 자자에게 자신의 관심사를 털어놓거나 이런저런 질문을 입 밖으로 낼 수 있었다. 학교에서 공부는 시몬이 늘 일등이었지만 자자는 체육과 음악에서 시몬을 앞섰다. 자자는 성장하면서 점점 예뻐지고 맵시가 났다. 시몬은 얼굴색이 고르지 못했고 몸가짐이 어색했다. 시몬도 열일곱 살 무렵부터는 인물이 살아났다. 하지만 시몬은 그때 이미 자자가 자신과 딴판으로 외모가 뛰어나고 집안도 부유하고 화목하다는 사실을 뚜렷이 의식하고 있었다. - 2장 결혼을 거부한 철학 교사 1916~1928년

보부아르는 아홉 살에 4학년으로 올라가면서 가족은 아니지만 높이 살 만한 외부인을 한 명 더 만났다. 그 친구는 장차 삶과 죽음으로 보부아르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칠 터였다. 엘리자베트 라쿠앵(Elisabeth Lacoin), 보부아르가 ‘자자’라고 불렀던 이 친구는 쿠르 데지르에 다니는 밝고 활기찬 여학생이었다. 시몬과 자자는 학교에서 선의의 경쟁을 펼치는 친구 사이가 되었다. 자자는 시몬을 우정이라는 새롭고 감미로운 삶의 한 부분으로 인도했다.

시몬이 보기에 자자는 경이롭기 그지없는 친구였다. 자자는 피아노를 잘 쳤고, 글씨체도 예뻤고, 여성스러우면서도 "소년 같은 대담성"을 잃지 않았으며, 장 라신을 좋아할 뿐 아니라(당연한 선호) 피에르 코르네유를 싫어하는(당연하지 않은 불호) 배짱도 있었다.* 자자는 사고방식이 전복적이었고, 피아노 연주회 도중에 어머니에게 혀를 낼름 내밀기도 했다. 딸이 그렇게 ‘개성’을 대놓고 드러내도 자자의 어머니는 늘 사랑과 애정이 넘쳤다.

* 장 라신과 피에르 코르네유는 프랑스를 대표하는 극작가다.

그래서 보부아르는 달콤한 우정을 누렸지만 비교라는 씁쓸한 뒷맛도 알게 되었다. 보부아르는 나중에 자기 삶, 자기 어머니를 자자의 경우와 비교한 것이 공정치 않았음을 깨달았다.

"나 자신에 대해서는 안에서부터 느끼지만 자자는 내가 밖에서 바라본 대상이기 때문이다."보부아르가 열여덟 살에 착안한 "내 안에 있는 내 존재와 밖에서 보이는 내 존재 사이에서 자주 관찰되는 이원성"의 구분은 이후 저작들에서도 계속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1장 부르주아 집안의 맏딸 1908~1915년"나의 어린 시절은 끝없는 분쟁이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24-06-20 09: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백수린 작가가 번역도 하는군요. 돌아간 평론가 김윤식 교수가 꽤 총애했나본데 아직 읽은게 없네요.

서곡 2024-06-20 10:15   좋아요 1 | URL
네 불문학 박사더군요 논문 주제가 보부아르...백수린 작가 검색하다가 고 김윤식 평론가가 호평했다는 기사 저도 본 적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