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6 - 구부의 꿈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고구려 6권 고구부의 꿈

고을불을 지나서 태자시절 세상을 떠돌며 알고자 했던 남자 구부가 태제의 자리에 오른 시대의 고구려의 이야기가 그려집니다 오랜만의 고구려의 후속편의 발매

시작은 시골마을의 일상에 벌어진 사건 조상을 모시지 않는 다는 죄로 심판받는 남자의 모습이 등장하면서 표지의 공자의 유학에 대한 이야기가 그려집니다 가난하기 때문에 죽은 부모보다 어린 자식에게 먹일 양식이 더 필요한 남자 하지만 소위 배웠다는 인간들은 그런 그를 예를 지키지 않는다는 이유로 구타를 하고 단지 가난해서 제사를 모시지 못한 죄로 남자는 결국 구타로 죽게됩니다 그리고 남자의 죽음으로 인해 민란이 벌어지고 태수는 죽은 남자의 딸의 손에 죽게되고 민란의 인물들은 군사의 손에 죽게됩니다 도망친 딸은 불문에 귀의하게되는데 ..그리고 이야기는 고구부의 이야기로 이어집니다 태학을 건립하고 불문을 들여온 태제 고구부 그는 백제와의 전쟁에 친위 지휘하면서

뛰어난 귀책으로 승리로 이끄는데요 모두 그를 숭상하지만 너무 뛰어난 자신때문에 밑의 신하들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것 걱정합니다 그리고 장소는 동진 왕희지의 아들과 동료들의 사담을 나누는 가운데 은나라의 이야기가 언급되고 분위기는 가라않게 되는데요 그런 한편 고구부는 자신의 동생과 귀족들의 자제를 인질로 백제의 부여부와 한방탕 협상을 합니다 같은 나라로 통합하고 요동으로 진격하자는 커다란 포부 큰나큰 꿈에 동참하는 백제의 왕 하지만

하늘은 그의 꿈을 허락하지 않는 군요 백제의 왕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동지를 잃고 혼자 꿈을 걸어가는 고구부

과연 그의 꿈은 이루어질것인가요 미래를 아는 우리는 그미래를알지만

이권에서 다루어지는 가장 큰 문제는 전권에서도 언급되었던 유학이라는 공자가 창안한 문화 그자체라 할수 있습니다  좋고 나쁘고를 떠나 몽골의 경우 땅은 점령했지만 결국 자신들의 고유문화를 잃고 문화에 침략당하고 말앗죠

조선에서도 유학이 통치의 이념이 되어버린 가운데 당시의 고구려 고구부는 그런 위험을 알고 제나라 제문화를 만드들어서 진정한 나라를 만들고 자 했다는게 픽션의 경계를 떠나 매력적입니다 너무 뛰어나기에 알아주는 사람이 없엇던 왕 그리고 문화의 힘을 이용해 자신들의 색깔로 지배하고자 하는 동진의 인물들의 대결이 그려지는 고구려 이번권도 만족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lou:Do 2016-11-02 11: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부럽습니다. 작가의 사인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