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이 소설을 쓰려면 돈과 자기만의 방을 가져
야 됩니다.˝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을 읽다보면 작가님이 정말 똑똑하고 많이 알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또한 그녀의 단호한 문장은 책을 읽는 사람의 공감과 행동을 자아낸다. 하지만 문제는 나의 배경지식이 짧다보니 내용 자체가 상당히 어려웠다. 만약 소설이었다면 좀 더 쉽게 읽었을텐데 에세이이다 보니 쉽지 않았다.
열린책들 35주년 세트의 열아홉번째로 읽은 <자기만의 방>은 나에게 재독인 책이다. 이년전엔가 읽었었는데(북플 하기 전에) 그때도 어렵게 읽어서 ˝버지니아 울프˝ 책 읽기를 한때 포기했었다. 그래도 이번에 다시 읽으니까 그때에 비해서는 그나마 잘 읽혔다. 역시 이해가 안되면 재독이 답인가 보다. 특히 셰익스피어의 가상 누이인 ˝주디스˝에 대한 비유와 ˝샬럿 브론테˝와 ˝제인 오스틴˝을 비교하는 부분의 이야기는 배경지식이 그래도 있어서인지 상당히 흥미로웠다.
[오만과 편견은 좋은 책이라고 말할 만합니다. 아무튼 오만과 편견을 쓰다가 들켰대도 창피하지 않았을 겁니다. 하지만 제인 오스틴은 경첩이 삐걱대는 걸 다행으로 여겼습니다. 누가 들어오기 전에 원고를 숨길 수 있었으니까요. 제인 오스틴에게 는 이 소설을 쓰는 것이 체면을 잃는 일이었습니다.] P.95
왜 그동안 여성이 문학의 영역에서 두각을 드러낼 수 없었는지에 대한 작가님의 명쾌한 논리전개에 공감했다. 특히 20세기 초에 그런 생각을 했다는 것 자체가 놀라웠다. 작가님 같은 경우 그래도 운이 좋게 자기만의 방과 경제력을 가질 수 있었기에 좋은 작품을 쓰는데만 매진할 수 있었지만 다른 여성들에게는 결코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럼에도 ˝버지니아 울프˝는 여성들에게 말한다. 계속 노력하라고, 가난하고 불확실한 처지더라도 노력하는게 가치있다고.
[1세기 후에는 가치가 완전히 변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더구나 백 년 뒤에는 여성들이 보호받는 성인 시대는 끝날 거라고 내 집 문간에 도착하면서 생각했습니다. 필연적으로 여성들은 과거에 금기였던 모든 활동과 일에 참여할 겁니다.] P.56
그녀와 같은 노력과 투쟁이 있었기에 그나마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는 ˝버지니아 울프˝가 살았던 시대보다 좀 더 여성과 여성문학가에 대한 권리가 나아졌다고 생각한다. 아직까지도 많이 부족한게 사실이지만.
페미니즘과 젠더 이론의 선구자격인 <자기만의 방>을 쓴 ˝버지니아 울프˝에게 경의를 보낸다
Ps 1. 그래도 올해 북플을 통해 ˝버지니아 울프˝의 좋은 작품을 많이 소개받아서 <올랜도>, <댈러웨이 부인>, <등대로>를 읽었다. 거장의 작품을 네편이나 읽었다니 뿌듯하다. 아직 사놓고 못읽은 <파도>는 꼭 내년에 읽으리라~!
Ps 2. 그러고 보니 자매품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도 읽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