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블루레이] Tutto Verdi 20 - 시몬 보카네그라 [한글자막]
베르디 (Giuseppe Verdi) 감독, 누치 (Leo Nucci) 외 / C Major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자는 'Simon'인데, 가수들이 '시모네'라고 발음하네. 이탈리아어를 모르니 뭐라 트집잡을 수도 없고...

 

발음 뿐 아니라, '시몬 보카네그라'는 몇 가지가 특이한 작품이다.

 

1. 국뽕이다. 피렌체의 국뽕시인 페트라르카가 언급되기도 한데, 분열된 정치체제에서 화합의 정치를 외친 실존인물의 일대기를 통해 베르디 시대의 열망인 이탈리아 통일을 염원한 것 같다. 즉, 내용면에서는 지극히 보수적이다.

 

2. 반대로 음악은 실험적이고 혁신적이다. 딱히 아리아라고 할 만한 부분이 없다. 그걸 알 수 있는 게, 관중들이 중간에 끊고 박수치는 부분이 없다. 이게 '번호오페라'라는 기존 이탈리아 오페라의 틀을 파괴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아마 당대의 청중들은 어리둥절 했을 것 같다. 더욱 충격적이 것은 소프라노-테너의 투톱 체제가 아니라 바리톤과 베이스가 전면에 등장하여 극을 이끌어간다. 공주와 왕자의 비극 이야기가 아니라 정치적 암투를 소재로 했으니 이게 당연한 귀결일 수도 있다. '용의 눈물' 같은 정통사극에서 목소리 고음 내는 사람은 내시밖에 더 있나. 흥행이 생명인 당시 오페라계에서 어떻게 이런 노잼 라인을 구성할 생각을 했을까. '중기 3부작'으로 돈을 벌만큼 벌었기에, 이번에는 자신의 내면의 소리를 보여주고 싶었을지도 모른다. 실제로도 이런 소재와 구성을 극장에 올릴 수 있었던 작곡가는 당시에 오직 한 명 뿐이었을 것이다.

 

이렇게 보수적 내용에 진보적 형식을 입은 어두운 작품의 첫 인상은 생각보다 괜찮았다. 당시의 배경지식이 어두워서 초반에 따라가는 데 애를 먹었지만 곧 낮게 깔리는 은은하게 울리는 소리들을 즐기게 되었다. 연출은 전통적인 것으로, 좁은 무대를 적절히 활용한 구성이 좋았다. 주인공인 레오 누치를 비롯한 등장인물들의 노래와 열연은 말할 것도 없고(테너가 좀 미흡). 이 희귀한 작품을 나중에 좀 즐기고 싶은데 발매된 영상물이 별로 없는 점이 다소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블루레이] 푸치니 : 투란도트 - 2010년 베로나 야외 음악제 실황
굴레기나 (Maria Guleghina) 외 / BelAir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상당히 만족스러운 공연물. 군중들의 이상한 머릿수건 빼고는 중국 스멜이 강한 연출. 투란도트는 장대한 스케일인 게 야외무대가 제격인 듯. 굴레기나는 카리스마 넘치고, 테너는 좀 약하다(그래도 아리아는 앙코르 받음). 핑, 팡, 퐁과 오케스트라와 합창이 참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블루레이][수입] 푸치니 : 서부의 아가씨
루치오 갈로 (Lucio Gallo) 외 / OPUS ARTE(오퍼스 아르떼)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나의 첫 '서부의 아가씨'.

 

'일 트리티코' 때부터, 푸치니 공연물에 대한 나만의 감상법은 '성악은 제외하고 오케스트라와 내용을 보자'는 것이다. 좋은 아리아야 신경을 크게 안 써도 귀에 꽂히지만, 오케스트라의 선율의 아름다움과 연극적 재미에 집중하면 작품을 즐기는 재미가 배가 되기 때문이다. 이 작품 역시 선율 속에 마치 '나 푸치니야'라고 사인을 해놓은 것 같고, 어느 부분들은 마지막 작품인 '투란도트'를 예고하는 듯하다. 마지막 부분이 약간 싱겁다는 점을 제외하면(서부극의 데우스 엑스 마키나?) 내용 전개 또한 굉장히 재미있었다.

 

연출 컨셉은 서부개척시대가 아닌 20세기 초반의 갱스터무비에서 가져왔지만, 원작을 느끼기에는 부족함이 없다(장총이 안 나오는 것 빼고는). 어차피 웨스턴무비나 갱스터무비나 이탈리아 이민자들이 주역이라는 건 같기 때문에 그 감성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을 것이다. 네덜란드 공연에, 화려한 금발을 자랑하는 네덜란드의 화장발 미녀 디바 에바 마리아 웨스트브럭과 두 남자 주인공이 잘했는지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카를로 리치의 오케스트라는 만족스러웠다.

 

이제 나에게 푸치니라는 나름 거대한 산은 초기 2편과 후기 망작 '제비'가 남았다. 서두르지 않고 차근차근 감상할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막을 뒤로 한 야외무대라 그런지 스테이지가 와이드한 게 시원시원하다. 관객들의 시야가 분산될 수도 있겠지만 다른 토스카와 차별화된 연출이 가능했을 것. 그런만큼 (브레겐츠에서처럼) 가수들이 마이크를 달고 나오는게 흠이라면 흠.

 

아리아는 셋 다 별로였다. 특히 소프라노 바실리에바는 '에르나니'에서도 봤는데, 미인이긴 하지만 목소리가 내 귀에는 너무 날카롭게 꽂힌다. 최애하는 '오묘한 조화'는, 아... 이 테너의 공연은 다시 보고 싶지 않다.

 

 

(촛대는 토스카의 주요 상징물 중 하나인데, 저 촛대는 Hoxy... 유대인의 상징물이라는 그 촛대와 닮은듯 하면서도 다른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쩌다 보니 라 트라비아타를 하루에 두 개를 보았는데...(나의 열 번 째 라트라비아타)

 

유투브 검색 중 조선시대를 무대로 한 라 트라비아타가 있어 깜놀, 저장해 두었다가 (자체) 추석 특집으로 시청했다. 음악적으로는 아쉬운 부분이 많지만, 내용을 거의 생략하지 않고, 기교적으로 어려운 부분을 피하지도 않은 점은 높이 평가한다. 비올레타 역 손지혜의 음색이 독특한데, 다른 작품으로도 봤으면 좋겠다.

 

무대 연출은 생각보다 뛰어나다. 짧은 동영상을 보았을 떄에는 단순히 한복만 입힌거라 생각했지만, 각 막이나 장마다 바닥이나 백월에 세심하게 고민한 흔적들이 보인다. 비록 우리나라에서는 오페라가 비인기 장르이지만, 아카데미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과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위를 배출하였고, K-드라마가 전 세계에서 인정받고 있는 저력이 있는데다, 뮤지컬 같은 공연이 매우 수준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러한 무대연출이 그리 놀라운 것은 아닐 것이다.

 

재미있게 감상했고, 라 트라비아타라는 작품이 시공을 초월하여 변주될 수 있는 명작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달았다. 사실, 조선시대보다는 1920~30년대 경성이 더 어울릴 법하지만, 그렇게 연출했다면 코번트가든 식 전통적 연출의 모방에 불과하게 보였을 것이고, 이처럼 신선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