틈새 보이스 문지 푸른 문학
황선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무의 17년은 버려지기의 연속이다. 지속적으로 버림받는 김무를 겨우 버티게 하는 건 분식집에서 때운 라면 한 그릇이다. 그런데 김무는 불행의 쓰레기통 같다. 엄마의 원망, 이웃집 동생의 죽음, 보육원과 위탁 가정에서 받았던 정신적, 육체적 폭력, 감출 수 없는 몸의 상처, 해리를 버렸다는 자책. 그래서 그 모든 불행의 시작인 생물학적 아버지를 만나야한다.

겨우 17년 인생에게 지워진 삶의 무게가 이렇게 가혹하다. 친구들은 또 어떤가. 유학에 실패하고 주식 도박을 하는 기하, 가난을 편집증적 지식으로 포장하는 도진, 학업 스트레스로 욕설을 하는 틱 장애를 가진 윤, 할아버지에게 정신적, 육체적 겁탈을 당한 해리 등. 이들을 돕는 어른은 없으며 오로지 인물들이 겪고 있는 삶이 참으로 힘겹다.

서사의 흐름이 악화일로를 겪어야하는 것은 이야기의 운명이다. 결국 무는 아버지를 넘어섰고, 이웃 집 동생의 죽음을 넘어섰고 엄마와 화해하고 해리의 가족이 되어줌으로써 쓰레기통 같은 삶을 비워냈다. 틈새 분식집에서 만나고 헤어진 주변 인물들이 겪을 삶의 리듬도 무와 다르지 않을 것이다. 도저히 불가능해 보이는 삶이 가능해지는 것으로 황선미가 무에게 보여준 것은 그림이다. 그러니까 인간에게 필요한 것은 오로지 나에게 집중하고 살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그 무언가다. 그게 있으면 살고 없으면 죽는다.

이 정직하고 뻔한 서사를 의식하지 않고 읽을 수 있는 것은 궁상떨지 않는 인물들 때문이다. 최소한의 말로 의사소통을 하며, 눈물과 악다구니를 싹 거둬낸 장면들은 거추장스럽지 않다. 극적인 화해도 없고 엄마라는, 선생이라는, 친구라는 존재가 갖고 있는 선의, 희생, 감상적 위로들이 없어 전체적으로 세련되었다는 인상을 준다.

그나마 무와 윤이 주고받는 문자나 사소한 선물, 미술학원 선생님이 보여준 관심에 마음이 출렁이는 무가 이 냉정하고 이성적인 이야기에 약간의 물기를 느끼게 할 뿐이다.

자기 문제에 정면으로 맞서는 아이들은 더 이상 어른의 보호권 안에 있지 않다. 적어도 이 작품에서 어른들과 청소년의 관계는 그렇다. 어른도 삶이 힘들고 완전하지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좀 더 나아간 지점이 여기다. 이제 삶 앞에서는 어른과 청소년이 대등하며 이 작품이 인식하고 보여주는 것도 그것이다. 어설픈 위로나 교훈이 없다는 것, 적어도 이 작품 안에서 무와 도진, 기하, , 해리는 이제 살아도 되는, 괜찮은 삶을 시작하려는 입구에 막 들어섰다. 오로지 자기 힘으로 겪어 냈다. 도움은 그저 혼자가 아니라는 것만 확인하면 되는 친구 정도.

해리를 데려 간 무가 엄마에게 밥이나 먹고 난 뒤 혼을 내라는 장면이 인상적인 것은 거기서 뭔가 생겨날 것 같은 기운 때문이다. 문학은 끝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기어이 그 끝까지 가서 거기서 생겨나는 뭔가를 찾아내는 과정이다. 가족을 찾아 헤매던 해리와 무가 엄마라는 불완전한 존재에게 깃들어 이제 같이 만들어 갈 가족의 다음. 텅 비운 사람들끼리 채워갈 공간들이 어떤 색으로 물들어갈지. 그 작은 기대만으로도 독자는 안심을 하는 것이다.

어쨌든 이 작품은 가르치려고 하지 않았고 말해주려고 하지 않았다는 것이 중요하다. 무라는 불행 덩어리가 그 불행 덩어리를 어떻게 덜어내는지 보여줄 뿐.

청소년소설은 점점 세련되어 간다. 너무 어른스러워 어려워지는 것은 아닌지. 아이가 크면서 어려워진다고 말하는 부모의 마음은 어른으로 대접한다는 마음과 함께 아이 시기가 주는 어떤 것들이 사라졌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런데 청소년소설의 매력은 그 지점에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닐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형주 2016-11-23 09: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좋은 글 읽고 갑니다.
초등6학년을 둔 엄마로써 수수꽃다리님의 글을 읽고, 개인적으로 깊은 생각을 하게 됩니다.
건강하세요.
 
싸이퍼 - 제14회 사계절문학상 대상 수상작
탁경은 지음 / 사계절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작품이 품고 있는 가장 강력한 힘은 질문이다. 자, 좋아하는 것과 잘 하는 것은 다르다. 어떻게 할래? 이 보편적 질문에 정면으로 맞서되 현실감을 놓치지 않았다는 것. 늘 뭔가 아쉬웠던 것이 끝까지 가보지 못하는 거였다면 이 작품은 절망에 제대로 맞서보는 시도였고 상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편의점 가는 기분 창비청소년문학 75
박영란 지음 / 창비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편의점 가는 기분』에서 편의점잠깐의 기분이 드는 곳이다. 편의점 기능이 그렇듯이 학교로 돌아가기 전에 잠깐, 개발되기 전에 잠깐, 새 일을 시작하기 전에 잠깐, 아빠가 오기 전에 잠깐, 집에 가기 전에 잠깐, 고양이에게 밥을 주러 가거나 갔다 오기 전후에 잠깐. 그 잠깐의 시간들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24시간 붉을 밝히는 공간이 편의점, 그러니까 어둠 속에 있던 사람들이 잠깐 환한 불빛 속에 들어 물건을 고르고 사는 그 잠깐 동안 소통하는 공간, 그 잠깐의 시간들이 잠깐잠깐 이어져 이야기를 완성한다.

놓치지 말아야할 것은 그 잠깐의 시간 이면에 흐르고 있는 삶의 시간들이다. 장애와 외로움에 갇혀 지내던 수지의 긴 시간, 수지를 기다리는 나의 긴 기다림, 엄마와의 오랜 결별, 꼬마 수지 가족의 아픔과 이별, 꼬마 수지 엄마의 오랜 침묵, 훅의 시간, 끝나지 않을 캣맘의 밤 길 등. 편의점이 위로와 휴식, 회복의 공간이라는 느낌, 기분을 주는 것은 이들이 편의점 불빛 속에 들어와 쉬는 그 잠깐들이 이어지고 엮어내는 과정들 때문이다. 외롭고 갈 곳 없는 사람들에게 언제든 불을 밝히고 있는 편의점이 어떻게 다가갈지.

일상적 공간이 문학적 공간으로 변하는 순간은 다분히 의도적으로 들려 당황스러웠지만 다른 방식의 표본 하나’(217)에 대한 훅의 발언이다. 한껏 힘을 준 이 말이 부자연스럽기는 해도 작가가 이 말을 하기 위해 공을 들였다는 것은 알겠다. 결정적인 이 주제적 발언이 당황스러운 이유는 이 작품에 진열된 인물들의 단순성과 개체수의 절대적 부족 때문일 것이다. 나의 가족사, 사라진 수지, 꼬마 수지의 가족사, , 캣맘이 다른 방식의 표본 하나씩을 감당하는 무게감에 대한 공감에 따라 작품을 대하는 기분은 달라질 것이다.

편의점이라는 매력적 공간을 발견한 작가의 눈썰미가 반갑고 이 공간에 대한 해석의 깊이에 대해 독자들의 생각은 다양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엄마 몰래 문학동네 동시집 47
장동이 지음, 한차연 그림 / 문학동네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매가 얼마나 오랜 시간과 품이 들어야 맺는지 아는 시인이 쓴 동시들이라 가장 맞춤하게 여문 시들만 골라 담은 것 같다고 느낀다. 아름답고 그리운 명사들이 주체가 되어 일년 열 두달을 꼭꼭 채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몸무게는 설탕 두 숟갈
임복순 지음, 신슬기 그림 / 창비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범한 일상이 특별해 지는 순간들이 빼곡하다. 누구나 그렇게 보고 말할 수 있으나 시인은 그 순간을 넘어 한 걸음 더 나아간다. 그것은 동시의 걸음이나 시의 걸음이 다르지 않다. 시들이 이쁘서 고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