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가는 기분 창비청소년문학 75
박영란 지음 / 창비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편의점 가는 기분』에서 편의점잠깐의 기분이 드는 곳이다. 편의점 기능이 그렇듯이 학교로 돌아가기 전에 잠깐, 개발되기 전에 잠깐, 새 일을 시작하기 전에 잠깐, 아빠가 오기 전에 잠깐, 집에 가기 전에 잠깐, 고양이에게 밥을 주러 가거나 갔다 오기 전후에 잠깐. 그 잠깐의 시간들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24시간 붉을 밝히는 공간이 편의점, 그러니까 어둠 속에 있던 사람들이 잠깐 환한 불빛 속에 들어 물건을 고르고 사는 그 잠깐 동안 소통하는 공간, 그 잠깐의 시간들이 잠깐잠깐 이어져 이야기를 완성한다.

놓치지 말아야할 것은 그 잠깐의 시간 이면에 흐르고 있는 삶의 시간들이다. 장애와 외로움에 갇혀 지내던 수지의 긴 시간, 수지를 기다리는 나의 긴 기다림, 엄마와의 오랜 결별, 꼬마 수지 가족의 아픔과 이별, 꼬마 수지 엄마의 오랜 침묵, 훅의 시간, 끝나지 않을 캣맘의 밤 길 등. 편의점이 위로와 휴식, 회복의 공간이라는 느낌, 기분을 주는 것은 이들이 편의점 불빛 속에 들어와 쉬는 그 잠깐들이 이어지고 엮어내는 과정들 때문이다. 외롭고 갈 곳 없는 사람들에게 언제든 불을 밝히고 있는 편의점이 어떻게 다가갈지.

일상적 공간이 문학적 공간으로 변하는 순간은 다분히 의도적으로 들려 당황스러웠지만 다른 방식의 표본 하나’(217)에 대한 훅의 발언이다. 한껏 힘을 준 이 말이 부자연스럽기는 해도 작가가 이 말을 하기 위해 공을 들였다는 것은 알겠다. 결정적인 이 주제적 발언이 당황스러운 이유는 이 작품에 진열된 인물들의 단순성과 개체수의 절대적 부족 때문일 것이다. 나의 가족사, 사라진 수지, 꼬마 수지의 가족사, , 캣맘이 다른 방식의 표본 하나씩을 감당하는 무게감에 대한 공감에 따라 작품을 대하는 기분은 달라질 것이다.

편의점이라는 매력적 공간을 발견한 작가의 눈썰미가 반갑고 이 공간에 대한 해석의 깊이에 대해 독자들의 생각은 다양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