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읽는 방법]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소설 읽는 방법 - 히라노 게이치로의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 읽는 방법>을 읽다보면 책 중간도 못가서 히라노 게이치로가 앞서 발표한 <책을 읽는 방법>을 사서 읽어야 할 것이다. 미처 읽지도 않은 책이 지금 읽고 있는 책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자꾸 언급되기 때문이다. 책 속에서 또다시 읽어야 할 책을 만나는 일 또한 책을 읽는 방법으로 소개된다. 책을 ‘잘’ 읽고 싶은 생각이 있는 독자라면 히라노가 말하는 <책을 읽는 방법>이 도움을 줄 것 같다. 핵심은 슬로 리딩(천천히 읽기)이다. 속독을 할 때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를 걱정하면서 제시한 책읽기 방법인데, 결국 보다 ‘앞으로’가 아니라 보다 ‘깊게’로가 슬로리딩의 목적이다. 

“무작정 활자를 좇는 빈약한 독서에서 맛을 음미하고 생각하며 깊이 느끼는 풍요로운 독서로 나아가는 것”이다. (<책을 읽는 방법 10쪽>

<소설 읽는 방법>은 소설을 제대로 감상하기 위한 히라노의 생각과 실천이다. 그는 소설을 읽을 때 그 소설의 메커니즘, 발달, 기능, 진화에 대해 생각하며 읽기를 권한다.

메커니즘은 소설이 소설로서 기능하는 구조를 말하는데, 작가가 제시하는 하나의 세계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알면 소설이 재미있고 없는 이유를 알 수 있다. 내가 지금 읽고 있는 작품이 작가의 인생에서 어떤 타이밍에 나왔는가(발달), 이 소설이 사회와 문화의 역사 속에서 어떤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가(진화), 지금 내가 읽고 있는 이 소설이 나와 작가 사이에 어떤 의미를 갖는가(기능) 이 네 가지 방식을 생각하면서 소설을 읽는다면 지금 내 손에 들려있는 한 권의 소설 무게가 달라지고 책 읽는 속도는 자연스럽게 늦춰질 것이다. 

소설 한 권의 가치가 이토록 절대적인가 의문을 갖는 독자가 있을 것이다. 가끔 시간 아까운 소설을 읽었던 경험이 있는 독자들이라면 자신들이 책을 잘못 읽은건가 하는 생각도 들 것이다. 내가 그렇다. 히라노의 글을 읽다보면 자신이 작가여서 그런지 소설 작품을 완전에 가까운 것으로 생각하는 인상이 짙다. 소설은 작가의 철저한 계산과 생각 속에서 창조된 세상이다. 거기에 잘못된 배치는 없다. 다만 독자들이 천천히 읽지 않고 꼼꼼히 읽지 않아서 작가의 의도를 제대로 모르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끊임없이 내 소설읽기, 혹은 책읽기가 무엇이 문제인지 되돌아 봐야 했다. 은근히 반발심도 생기는데, 그는 ‘창조적 오독’으로 독자의 권리를 인정해 버린다. ‘창조적 오독’은 할 수 있으되 비판이나 비난을 받을 작품은 없다는 것처럼 들리기도 한다. 작가의 자존심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가 소설을 얼마나 사랑하는 작가인지 알 수 있어서 그가 제시하는 소설 읽는 방법을 적극 수용해보기로 했다. 아무리 딴지를 걸고 싶어도 작품을 꼼꼼히 읽어야 한다는 말은 틀리지 않다. 

“소설은 그림이나 조각 등과 달리 감상하는 데 하루든 일주일이든 반드시 시간을 들여야 하는 예술이다. 첫 행부터 시작해서 마지막 행까지 가닿은 시점에야 비로소 작가가 세상에 내놓은 하나의 작품이 독자에게 무사히 도착하게 된다.

아무리 다양한 사건들이 터져도 혹은 옛날 일을 떠올리거나 미래를 망상해도 우리는 담담히 현재를 살아가며 과거에서 미래로 가는 ‘화살표’를 따라 끄덕끄덕 앞으로 나아간다.

이 작은 화살표를 따라 우리는 감춰진 궁극의 술어 ‘......이다’를 찾아 울고 웃고 화내고 생각에 잠기며 마지막 한 행까지 가려고 한다.“

(<소설읽는 방법> 23쪽~30쪽)

  작은 화살표들이 모여 거대한 화살표에 이르는 과정이 소설이다. 독자는 화살표를 잃어버리지 말고 잘 찾아가야 한다. 
 

소설에 대해 이런 저런 얘기를 듣고 받아들였지만 오늘 듣는 히라노의 소설에 대한 이야기가 좋다. 그러므로 나는 이제 소설을 읽을 때 좀 더 바른 자세로, 좀 더 천천히 생각하며 읽게 될 것이다. 저자도 고백하지만 소설을 사랑하는 방법을 자세히 일러주는 일은 어렵다.

그래도 이 책 실천편에서 저자가 구체으로 작품의 일부분을 예로 들어가면서 천천히 읽어주는 것을 따라가다 보면 한 권의 소설을 만났을 때 어떤 독서법으로 그 소설을 대해야 할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독자가 작가의 작품 속에 개입할 수는 없지만 천천히 읽으면서 그 소설에 맞는 독서법을 찾아 낼 때 작가와 작품, 독자의 행복한 소통이 이루어진다. 

<소설 읽는 방법>이 없던 방법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한 권의 책이 한 명의 독자와 만나는 순간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책이 되기도 하고 특별한 책이 되기도 하는 그 순간이 책과 독자의 인연이 맺어지는 순간이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나와 인연을 맺지 못한 책들 때문에 괴로웠다. 나의 모자람으로 내게 오지 못한 그 책들이 나를 원망하는 것 같아서 책 때문에 괴로운 경험을 다 하다니. 사놓고 읽지 못한 책들도 눈이 마주칠까봐 모른 척 하고 있다.

분명 한 건 나는 많이 읽는 것보다 천천히 읽기를 해야 하는 독자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