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비상

 

 

엄마랑 이모 사촌 언니 친구들하고  영화를 보러 갔다. 다큐멘터리인데 제목은 위대한 비상이다. 27종의 철새들을 따라 다니며 바로 옆이나 위에서도 철새들을 찍었다 어떻게 찍었는지 너무 궁금하고 신기했다.

이건 이모가 나중에 얘기해 준 것인데 이 다큐멘터리는 3년간 찍었고, 340억이나 든 영화였다. 또 바다에 7번이나 떨어졌다고 한다. 게다가 알일때부터 데려다 키워서 카메라 돌아가는 소리 같은 것을 친숙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행글라이더나 경비행기 열기구 같은 것을 카고 찍을 수 있었던 것이었다. 나는 이렇게 만든 다큐멘터리는 가짜라고 생각한다. 이런 인공적인 다큐멘터리가 다큐멘터리라니, 말도 안된다고 생각한다. 다큐멘터리는 있는 그대로를 찍는 것인데, 철새들을 키워서 찍은 것이면 있는 그대로가 아니다.

위대한 비상에서는 대머리 수리 흰뺨기러기 두루미 도요새 알바트로스 등이 나온다. 그 중에는 난생 처음 듣는 바위 뛰기 펭귄이나 흰뺨기러기 같은 새들도 있었다.

제일 멋있고 놀랍던 장면은 화면을 가득 채운 새들이 떼로 몰려 다니며 모양을 만들던 것이었다. 바람부는 것이나 파도 치는 것 바다가 출렁이는 것 같았는데 모든 사람들의 입이 쩍 벌어졌다. 아주 환상적이었다. 그런데 그렇게 멋진 장면이 있는 반면, 반대로 징그러운 장면도 있었다. 갯벌에서 새가 다리는 다쳐 못 날아가고 있는데 게들이 와서 잡아 먹는 것이었다. 얼굴이 막 일그러졌다.

그리고 웃긴 장면도 있었다. 앵무새나 원숭이 같은 잡아서 우리에 넣어 어디론가 가고 있었는데 앵무새가 부리로 문을 열어서 날아가 버리는 것이었다. 다른 사람들은 "다른 동물 우리도 열어주지'라고 했는데 나는 웃겨서 "큭큭" 하는 웃음만 나왔다.

영화를 보기 전에는 '뭐하러 340억이나 들여서 힘들게 다큐멘터리를 찍었을까? 그리고 그럴 이유가 있다해도 340억의 가치가 없을수도 있는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다보고 나니까 생각이 바뀌었다. 왜 만들었는지는 모르겠지만 340억의 가치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 다큐멘터리를 보고 나면 아주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잘 모르는 새로운 새를 보여주고 어떻게 다른 나라로 가는지, 또 가는 중 어떤 일이 있는지 등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이 영화를 볼 수 있었는데 못 본 예림이가 불쌍하기도 하고, 같이 못 봐서 아쉽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3-01 18: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북극의 나누크

엄마랑 언니랑 영화를 보러 갔다. 어떤 사무실이었는데 문 앞에서 문이 잠겨 있어서 쩔쩔매고 있었는데 어떤 아저씨가 오셔서 문을 열어 주셨다. 밖은 추웠는데 들어오니까 아주 따뜻했다. 그래서 막 잠이 왔다.

이 이야기는 일기제목처럼 북극이야기다. 사냥하는 것이나, 이글루 만드는 것 같은 걸 보여주었다. 많이 졸아서 제대로 본 건 별로 없지만 제일 웃기고 기억에 남는 것은 어떤 아이가 사람을 타고 언덕을 내려가는 것이다. 그걸 보고 모두 웃었다. (사실 모두 라는 것이 나까지 합해서 6명 뿐이다)

또 바다표범을 잡는데 창을 가지고 숨어 있다가 바다 표범이 잘 때 갑자기 튀어 나가서 창으로 막 찔렀다. 엄청 놀랬다. 바다 표범이 엄청나게 힘이 세서 물에 끌려 들어갈 것 같았다. 또 나누크라는 아저씨가 바다표범 고기를 자르는데 잘 안 잘라져서 그랬는지 칼을 혀로 슥!하고 핥았다. 모두들 으~하며 얼굴을 찡그렸다.

눈을 네모나게 잘라서 이글루를 만들었다. 창문을 얼음으로 만들었다. 하얀 것을 계속 보니까 눈이 조금 부셨다. 얼음과 눈으로 만들어서 안이 너무 추울 것 같았는데 잠을 잘 때는 옷을 벗어서 덮고 잤다. 그에 비하면 나는 행복한 것이다. 이렇게 커다란 집에서 좋은 이불을 덮고 자고 또 힘들게 돌아다니지 않아도 되니까. 이글루를 만드는 나누크를 보면서 아빠의 사랑을 느꼈다. 그런데 옆에서 아이들은 신나게 놀고 있었다.ㅋㅋ

영화가 끝나자 지루하고 졸렸기 때문에 엄마한테 얼른 가자고 했다. 하지만 한편으론 아쉬웠다. 나한테 유익한 영화였기 때문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6-03-04 06: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오즈의 마법사 눈높이 클래식 5
L. 프랭크 바움 지음, 이현경 옮김 / 대교출판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예전에 ‘오즈의 마법사’가 아주 짧은 동화책인줄 알았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렇게 긴~이야기였다. 짧은 동화책으로만 보던 ‘오즈의 마법사’가 이렇게 두꺼운 책이었다니!! 새롭고도 신기했다. 또 훨씬 재미있었다. 엄마가 빌려온 두꺼운 동화책들 중에서 제일 재미있었다.

 우리나라에도 마녀가 있었으면 좋겠다. 물론 착한마녀였으면 한다. 마녀가 있으면 정말 재미있을 것 같다. 마법 같은걸 믿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늘 마법이 눈에 보이니까 친숙해지고, 믿게 될 것이다. 그러면 못하는 일들도 마법으로 할 수 있고, 귀찮고 불편한 일들도 마법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나도 도로시처럼 신기한 일들을 많이 겪어보고, 재미있는 모험을 해보고 싶다. 하지만 무서울 것 같기도 하다. 솔직히 나는 고소공포증도 있고 겁이 조금 많아서 그런 모험은 사실 자신이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3-01 17: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지금여기 2006-03-02 19: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난 그런모험 해보고 싶다. 난 우리나라에 마녀가 있으면 좋겠다는 게 아니라 내가 마녀가 되어 마법을 마음껏 부리고 싶다~!! ^●●^
 
신나게 사람을 그려보자 - 놀면서 배우는 김충원의 미술교실 김충원의 그려보자 시리즈
김충원 글 그림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제목 말 그대로 사람을 그리는 것이다. 간단하고 정확하게 설명되어 있어서 그리기도 쉽고 재미있다. 또 그릴 수 있는 얼굴 표정, 손, 발등이 여러가지여서 골라 그릴 수 있다. 나는 요즘 저녁마다 계속 종합장에 이 책에 나온 것을 그려보고 있다. 나는 손을 잘 못그려서 지금은 얼굴을 그리고 있지만 손을 꼭 그리고 싶다. 얼굴 보다는 손을 훨씬 못그리기 때문이다.

이 책은 초등학생이든 중학생이든 어른이든 모두다 읽고 그리기 좋을 것 같다. 특히 나처럼 미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이 책을 보면 좋아할 것이다. 왜냐하면 여러가지 캐릭터들도 있고 손 발 얼굴 옷 동작등 못하는 것을 골라 그것만 이것을 보고 연습하면 좋아질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3-01 17: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제주의 빛 김만덕 푸른숲 역사 인물 이야기 1
김인숙 지음, 정문주 그림 / 푸른숲주니어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김만덕 할머니가 여러가지 좋은 일을 해서 여자는 건널 수 없다는 그 바다를 건너고 임금님을 칭찬을 받아서 부러웠다. 고래가 그랬어 어린이 잡지에도 김만덕 할머니의 만화가 나온다. 이름 만큼 똑같을 것 같은데 고래가 그랬어에서는 아직 중간도 체 못갔기 때문에 내용을 알 수가 없다.  김만덕 할머니는 객주를 차려서 번 돈으로 제주사람들을 먹여 살려서 임금님의 칭찬도 받고 금강산 여행을 갔다. 나는 김만덕할머니가 자랑스럽다. 우리나라에는 그런 좋은 일을 한 사람이 딴 나라 사람처럼 아주 많지 않지만 한국의 여러 생명을 먹여 살리고 여러 가지 좋은 일을 한 사람 중 하나가 김만덕 할머니다.

이야기는 좋지만 나나 내 또래 아이들이 이해하고 읽기 좋은 책은 아직 아닌 것 같다. 왜냐하면 뭔가 내 또래 아이들이 이해하기 힘든 무언가가 있는 것 같아서 이다. 사실 나도 아직은 정확히 이해를 못한 것 같다. 하지만 이야기만큼은 잘 이해했다. 맨처음에는 양가의 자식으로 태어나서 기생이 되었고 어릴 때 부모님을 잃어서 불쌍했다. 하지만 다섯번째 이야기는 포구에 차린 객주에서 부터 점점 재밌어진다. 또 여자는 바다를 건널 수 없었다 에서는 쪼끔 슬펐다가 곡식 오백석 부터는 다시 재밌어진다.

나 같은 여러가지 낱말을 모르는 아이들한테 알기 쉽게 모르는 낱말들이 풀이해놓았다. 그 모르는 낱말은 제주말이었다. 제주 말들은 생각보다 쉽고 좀 웃겼다. 또 제주에 몽골이 옛날에 쳐들어 왔다는 것과 그래서 말이 많다는 것을 알았다. 솔직히 말해서 몽골이 제주에 예전에 쳐들어 왔다는 것은 생전 처음 들었다. 몽골 같은 친하지 않고 잘 모르는 나라가 예전에 제주에 왔었다니..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3-01 17:4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