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체 한 구가 더 있다 ㅣ 캐드펠 수사 시리즈 2
엘리스 피터스 지음, 김훈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8월
평점 :
이 소설의 주인공 캐드펠이 내 마음에 드는 점, 완전히 믿을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 현실에서는 이렇게 믿을 만한 인물이 없는 탓이기도 하고 그래서 소설 주인공에게 내가 마음을 더 보태는 것도 맞고 근사할 수록 아쉽기도 하다. 메마른 현실과 풍요로운 소설 사이의 거리감 때문이다. 주인공을 좋아하니까 소설은 절로 재미있어질 수밖에. 이 사람은 나를 실망시키지도 않을 것이고 매력은 자꾸 생겨날 것이며 능력도 점점 크게 발휘될 것이므로. 이 더운 여름의 불쾌한 기운을 다 날려 버릴 수 있을 만큼.
2권에서는 전쟁이 주요 소재다. 1138년 잉글랜드 내에서의 왕과 황후의 싸움이라니. 잉글랜드 역사를 정확하게 모르니 배경은 그러려니 하고 본다. 역사 공부는 아주 미뤄 두고 전쟁으로 인해 사람들이 겪는 운명과 삶에 집중한다. 캐드펠은 이 상황 안에서 가여운 사람들을 구해 줄 모양이다. 왕들의 전쟁 중에 가엽지 않은 평민이나 신하가 어디 따로 있으랴마는. 사명감과 추리력과 용기와 판단력을 제대로 발휘하면서 활약하는 모습이 흥미로워서 읽는 내가 신이 난다.
1138년, 우리나라는 어떤 시대였을까 더듬어 본다. 고려 시대 문벌 귀족 사회라는 정보를 얻는다. 1170년에 무신정변이 일어났으니 그 전 시대의 모습을 추측해 볼 수 있겠다. 문신 시대의 절정기 정도? 우리나라에서도 저마다의 권력을 갖기 위해 양으로 음으로 싸우고 있었을 것 같다. 역사를 살피다 보면 지배자들의 싸움이라는 게 없는 시절이 도통 없어 보이기도 하지만 아니나 다를까 역시 그랬군 싶다. 전쟁과 배신과 음모와 보잘것없는 충성 따위에 목숨을 걸어야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 사는 삶이었을까, 죽는 삶이었을까. 오늘날의 우리와는 무엇이 다르고 무엇이 여전하다고 해야 하나.
왕은 반역자 94명을 처형시키라고 했다. 처형 후 시체를 처리하다 보니 한 구가 더 나왔다. 그 시절에도 이런 진실을 밝히겠다는 캐드펠 수사 같은 사람이 정말 있었는지, 캐드펠의 말을 듣고 진실을 밝히기를 허락한 왕이 있었는지 모를 일이지만 소설로 읽는다. 소설에서만큼은 진실이 밝혀지기를 바라는 마음, 작가도 알고 독자도 알 테니까.
이제 이것만큼은 나도 안다. 추리소설은 초중반까지 범인처럼 보이는 사람이 범인이 아니더라는 것. 한참 나중에 내가 또 이에 속을지 모르겠지만, 지금까지는 그랬다. 조마조마했어도 괜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