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 패러독스 1
피에르 바야르 지음, 김병욱 옮김 / 여름언덕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232쪽
책에 대한 우리의 표상을 짓누르고 있는 금기들은 학창시절부터 우리로 하여금 책을 신성한 대상으로 생각하게 하면서, 책에 어떤 변화를 가하는 순간 곧바로 죄책감을 느끼게 해온 것들이다.

✏️
한때는 독서 중에 마음에 드는 문장을 만나는 순간 연필로 밑줄을 긋는다는 불온한 생각을 결코 할 수가 없었다. 책은 그만큼 신성한 존재였기 때문에 그 어떤 흔적도 남기면 안 되는 줄 알았다. 심지어 책장을 구긴다는 행위는 생각조차 할 수 없는, 그것은 그야말로 책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전혀 없는 심각한 불순이었다.

초등학교(나는 국민학교 시절이었다) 시절 새학기를 맞아 새교과서를 받으면 가장 먼저 한 일은 철 지난 달력으로 책거풀(책가위의 경상도 방언)을 입히는 일이었다. 중학교 시절에는 예쁜 포장지였고, 고등학교 시절에는 투명 아스테이지(투명필름)였다. 이러한 행위는 책이란 지극히도 소중하게 다뤄야하는 대상이었기에 만에 하나 책을 상하게 할 만한 외부의 온갖 충격들로부터 책을 보호하도록 갑옷을 두르게 하는 것이었다.

누군가는 공감할 테고... 누군가는 뭔소리인가 하겠지만... 어쨌든 책의 몸뚱이조차 그토록 소중히 다뤘다는 것이다. 그런 만큼 독서라는 행위는 그야말로 무엇과 비교할 수도 없으리만큼 신성시되는 행위였을 것이란 사실은 쉽사리 짐작하고 남을 일이다.

독서는 엄숙하고 장엄한 종교의식과도 같은 것이었다.

그렇게...

잘못 배우고 살아왔다.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은 독서에 대한 숱한 고정관념들을 쉬이 무너뜨린다. 그동안 우리가 잘못 길들여온 독서에 대한 매너리즘적 버릇과 보편화시켜버린 관념들을 제대로 비틀고 헤집어 놓는다.

이 말의 진면목은 이 책을 직접 만나보셔서 통감해보시길 바란다.

📖 174쪽
우리의 내면을 억압적으로 지배하며 우리 자신이 되는 것을 가로막는 것, 즉 교양 있는 사람으로 보여야 한다는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는 자만이 자기 진실에 이를 수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2-11-07 15: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어릴때 책에 대한 기억, 완전 저랑 똑같아요. 그래서 교과서가 1년을 갖고 다녔어도 마칠때쯤에도 새책같았죠. 아 제가 공부를 안하게 아니고요. 책을 저렇게 신성시하는 잘못된 태도때문에 말입니다. ㅎㅎ
 
대화 - 90대 80대 70대 60대 4인의 메시지
피천득 외 지음 / 샘터사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

📌
60대, 70대, 80대, 90대 4인의 메시지

......

✏️
이 책 <대화>는 2004년에 출간된 것이다. 지금으로부터 18년 전의 일이니 적잖은 세월이 흐른, 그래서 그 때의 이야기가 2022년 오늘에도 와 닿을까 걱정이 스물스물 들었다. 무엇보다 대담록이라서...

하지만,

˝확인하기 전까지는 그 선물의 가치를 판단하지 말라.˝

누가 한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익숙한 이 말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한 책, <대화>.

이 의미는 이미 책의 속 표지에서도 자신감 넘치게 피력되어 있다.

📖
여기 실린 내용은 월간 <샘터> 지령 400호 기념으로 2003년 4월에 가졌던 피천득 선생과 김재순 선생, 법정 스님과 최인호 선생과의 대담을 채록한 것입니다.
(중략)
이 대담에는 각 연령에서 바라본 세상살이 경험이 각기 다른 시각과 언어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좀처럼 이뤄지기 어려운 네 분의 만남, 품격 높고 향기로운 대활.ㅇ 통해 그분들의 삶의 경륜이 여름날 시원한 빗줄기처럼 우리에게 쏟아집니다.

......

✏️
안타깝게도 2003년 <대화> 속의 네 분 대담자는 지금 2022년 이 세상에서는 결코 만나볼 수 없는 분들이시다. 금아 피천득 선생은 향년 97세로 2007년에, 우암 김재순 선생은 향년 92세로 2016년에, 법정 스님은 향년 77세로 2010년에, 소설가 최인호 선생은 향년 67세로 2013년에 작고하셨다.

이 책은 지금에도 회자되는 네 분의 참 지성인들이 남긴, 시대를 아우르는 삶의 이정표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책은 요즘 시대에 찾아보기 힘든, 아니 이미 사라지고 없는 것만 같은 품격 있는 대화의 장을 고스란히 목격하고 느낄 수 있다는 매력을 가지고 있다.

......

📖 (61쪽)
˝친구라는 사람은 많지만, 떨어지면 그립고 꿈에도 보이는 그런 친구는 얼마 없어. 영혼의 교감이 있는 사이가 참다운 친구로, 연령과는 관계가 없지.˝

📖 (63쪽)
사람의 생애를 판단할 때는 역시 그분의 최후가 어떠했는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인생이라는 경주의 결승점은 역시 죽음, 어떻게 죽는가 하는 것이겠지요.

📖 (77쪽)
사람이든 물건이든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한데 소유하려고 하기 때문에 고통이 따르는 겁니다.

📖 (89쪽)
˝너희가 지금은 죽고 못 살 만큼 서로 좋아하지만 속상하면 못할 소리가 없다. 아무리 속상해도 막말은 하지 마라. 막말을 하게 되면 상처를 입히고 관계에 금이 간다. 자기가 말한 것에 대해 언젠가는 책임을 져야 하니 어떤 일이 있어도 막말은 하지 마라.˝

📖 (149쪽)
신년 대담 때문에 김수환 추기경을 만난 적이 있는데 저보고 그러시더라고요.
˝최선생, 이 세상에서 제일 먼 여행이 뭔지 아시오? 머리에서 마음으로 가는 여행입니다.˝

......

📌
이 책에서는 인연, 신앙, 예술, 여성, 교육, 정치, 행복, 사랑, 가족, 자아, 말과 글, 시대, 이웃, 죽음 등등등 너무나 다양하고 폭넓은 주제들이 가볍지만 진지한 화두로 던져지고 풀어진다.

책은 166쪽에 지나지 않는 적은 분량이지만 전체적으로 당시 뿐만 아니라 지금에 와서도 지성인(지식인이 아닌)으로 일컬어지는 네 분의 삶과 지혜가 오롯이 녹아있다. 대담록이니 만큼 풀어놓은 이야기들이 세밀하지는 않다. 하지만 진정한 가치는 양(量)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질(質)에 있지 않겠나.

비록 19년 전의 대담이었다 할지라도 네 분의 가르침은 지금 2022년에도 와 닿는다.

시간이 흐르고 세상이 변해간다 하더라도 삶의 형식은 바뀔지언정 삶의 내용은 쉬이 변하지 않듯이 이런 이유로 <대화> 속에 담긴 네 지성인의 가르침이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삶의 이정표가 되기에 부족함이 없다 할 수 있을 것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 : 부산하고 시끄럽고 가끔은 쓸쓸한 - 다시 힘을 얻는 일흔네 가지 일탈 레시피
배연아 지음 / 이미지박스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책표지에 한 줄의 글,

˝다시 힘을 얻는 일흔네 가지 일탈 레시피˝

딱! 이다.
레시피, 덜도 말고 더도 아닐.

가끔 일탈을 원하지만 뭘 어떻게 해야 할 지 막막하거나 잘 모르겠다는 사람들에게는 소소한 레시피가 될 수는 있을 것이다. 요린이가 제일 먼저 찾는 게 요리 레시피이듯이.. 일탈린이에게는 이 책이 어느 정도 해소거리는 되겠다 싶다.

제목을 참 잘도 지었다 싶다.
《바람》 wind and wish
근데 그 바람이 ‘부산하고 시끄럽고 가끔은 쓸쓸한‘ 것이란다.

......

그냥 가볍게 읽을만하다. 하지만, 내게는 딱히 필요할만한 것은 아닌...

누구처럼 마음이 동하면 당장의 순간을 훌쩍 벗어버릴 만큼의 부산함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꼭 나처럼, 읽는 내내 ‘그랬으면 좋겠다‘만 연발하고 말 것이다.

그럼에도, 정말 그랬으면 좋겠다.

어쨌든


일탈은 일상을 벗어나기 위한 것이 목적이 아니라
다시 일상으로 돌아오기 위한 여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