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 쌉싸름한 초콜릿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8
라우라 에스키벨 지음, 권미선 옮김 / 민음사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달콤쌉싸름한초콜릿
#라우라에스키벨
#민음사
#세계문학전집108
#멕시코
#라틴문학


...

🔖라틴문학을 만나고 싶을 때
🔖‘요리 문학‘이라는 새로운 장르가 궁금할 때
🔖마술적 사실주의를 기반으로 섬세한 감각적 문체를 경험하고 싶을 때

라우라 에스키벨의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을 추천합니다.


✏️
소설은 1989년 멕시코에서 출간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는 동명의 영화로 1992년에 먼저 알려졌고, 2004년에야 민음사에서 번역 출판하여 소설로 소개되었습니다.

소설은 1910년대부터 1930년 초반까지 ‘멕시코 혁명‘이 한창이던 격동의 시기를 시대적 배경으로 합니다. 그 역사적 혼란기 속에서 전통적 가족제도에 갇혀 살아야만 했던 ‘티타‘라는 여성과 그를 둘러싼 사람들과의 복잡미묘한 관계가 얼키고설킨 삶의 굴곡진 이야기입니다.


✏️
소설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은 화자가 어머니에게서 물려받은 이모할머니 티타의 요리책으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소설은 ‘요리 문학‘이란 장르를 개척한 특이한 형식을 취하고 있는 만큼 12개의 챕터 중 성냥 제조법 이야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요리 레시피와 요리 과정을 설명하는 것을 시작으로 티타의 서사가 그려집니다.

티타는 ‘데 라 가르사‘ 집안에 막내딸로, 가문의 전통인 막내딸은 부모가 죽는 날까지 결혼도 하지 못하고 봉양하며 살아야 하는 운명을 지고 태어납니다.

˝...... 네가 막내딸이라 내가 죽는 날까지 나를 돌봐야 한다는 건 너도 잘 알잖니?˝(17쪽)

어머니인 마마 엘레나는 그점을 늘 티타에게 강요하는데, 티타는 그 억압적 가족 전통 때문에 사랑하는 페드로의 청혼에도 불구하고 결혼도 하지 못한 채 살아갑니다.

소설의 초반이 이렇게 시작되는데, 이후의 이야기는 불합리한 가족 전통에 맞선 티타의 첩첩으로 겹쳐 굴곡진 삶의 서사로 가득 메워집니다. 이후 이야기는 여러분이 직접 경험하시길 바랍니다.


✏️
이 소설은 라틴문학에서 만날 수 있는 마술적 사실주의가 핵심적 문체로 쓰여졌습니다. 마술적 사실주의는 20세기 세계 문학의 걸작 중 하나로 꼽히는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백 년의 고독』(또는 『백 년 동안의 고독』)에서 출발하는 형식입니다.

마술적 사실주의는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하지만 현실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마술적, 환상적 요소를 자연스럽게 혼합하여 묘사하는 기법으로 현실과 환상의 공존, 비일상의 일상화적인 모습을 취합니다.

소설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에서 개인적으로 티타가 집을 떠나는 장면의 마술적 사실주의 묘사가 압도적이었습니다.

📖 첸차는 울면서 마차를 따라가, 티타가 긴긴밤 불면증에 시달리며 떴던 어마어마한 담요를 그녀의 어깨에 간신히 둘러 주었다. 담요가 어찌나 크고 무거웠던지 마차가 안에 다 들어가지 않을 정도였다. 하지만 티타가 꼭 잡고 놓지 않았기 때문에 담요는 길게 드리워진 웨딩드레스 자락처럼 마차 뒤에 끌려갔다. 만화경처럼 알록달록한 무늬에 일 킬로미터나 되는 어마어마한 길이였다. 티타가 색깔에 신경 쓰지 않고 닥치는 대로 아무 실이나 기져다 썼기 때문에 완전히 총천연색이었다. 마차가 지나가면서 일으킨 거대한 먼지 구름 사이로 담요는 마술을 부리듯 보였다 안 보였다 하면서 현란하게 너풀거렸다. (110~111쪽)


✏️
이 소설에 대해서 하고 싶은 말, 해야 할 말이 너무 많습니다. 그걸 다 하자면 하루도 부족할 터입니다. 그럼에도 굳이 하나만 집어 말하고자 한다면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식욕과 성욕이라는 욕구를 요리와 사랑이라는 서사에 잘 녹여 세밀하고 감각적이며 조화롭고 매력적이게 감탄할 지경으로 묘사했다는 점입니다.


💭
요리에 관심이 많은 편이긴 하지만, 요리의 과정이 얼마나 애정과 정성으로 가득찬 것인지 이 소설로써 새삼 깨닫게 됩니다. 단순히 먹기 위해서가 아니라 행복하기 위해서.

일본 드라마 <고독한 미식가>에 이런 대사가 있습니다.
˝아무에게도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고 행복하게 먹는 이 행위. 현대인에게 주어진 최고의 치유다.˝

요리는 행복으로 향하는 길인듯 합니다. 요리하는 과정도, 그 요리를 먹는 순간도 그런 듯 합니다. 그런데 그런 행복을 제대로 누리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요?


💭
라우라 에스키벨의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에서 정작 다뤄야 할 이야기는 티타의 서사인데, 스포일러를 피한 채 다룰 수는 없어 손을 댈 수 없습니다. 꼭 이 소설을 읽어보시길 간절히 추천드립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