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 대한 책에 대한 책
금정연 외 지음 / 편않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책에대한책에대한책
#冊에대한book에대한책
#편않


......


✏️
특이한 책이다.

표지부터 상식적이지 않다. 그렇다고 비상식적이라고 할 수도 없다. 예상 밖의 표지 디자인(사진 참조)이 그저 신선한 시도라는 점에서는 흥미롭다.

책 제목조차도 예사롭지 않다. 그냥 책이 아니다. 책에 대한 책도 아니다. ‘책에 대한 책에 대한 책‘이란다. 그럼 결국 그 책은 어떤 책이 되는 걸까? 아무튼, 재미있는 제목이긴 하다. 하긴, 이 책을 구입하게 된 동기가 책 제목에 이끌린 탓이니까 그런 의미에서 출판사는 (도서 판매를 위한) 소기의 목적(개인적인 생각일 뿐)을 달성한 셈이라고 햬야 할까?

무엇보다 이 책을 기획한 출판공동체 <편않>의 이름조차 생소하다. 개인적으로 출판계에는 1의 관심도 없으니 이러한 출판사가 존재하고 있었음조차 관심의 영역에 없었으니 생소한 것은 당연하지만, 그런 의미로써 생소하다기 보다는 ‘편안‘이 아니고 ‘편한‘도 아닌 ‘편않‘이라서 생소하다. 책의 서문에서 ‘그래서 출판공동체 편집자는 편집을 하지 않는다의 동료들과 의견을 나누고는...‘이라는 표현을 통해 ‘편않‘이 ‘편집을 하지 않는다‘는 말로 이해하고는 있지만‘ 출판사 이름이 낯설기는 마찬가지다.


✏️
<책에 대한 책에 대한 책>은 책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8人이 책에 대한 글을 쓴 기존 작가의 책을 바탕으로 글을 썼다. 명확하게 따지자면 책에 대한 책의 서평인 셈이다. 하지만 서평과 함께 (8人 각자의 직업병이랄까) 자신의 직업적 전문성이 녹아져 있다. 8人은 서평가 금정연, 교보문고 마케터 김보령, 기자겸 뉴스레터 발행인 김지원, 번역가 노지양, 편집자 서성진, 뉴스레터 발행인 서해인, 디자이너 심우진, 출판노동자 양선화이다.

서로 다른 다양한 분야에서 각자의 입지를 가진 서로 다른 사람들이 서로 다른 책에 대한 책을 서로 다른 시각으로써 서로 다른 글을 쓴 것이다.


......


✏️
진득하게 읽었다,가 마지막 부분에 다다를 즈음 끝내 마무리 짓지 않은 채 책을 덮었다. (하지는 지금 막 피드를 올리는 동안 마무리 짓지 못한 마지막 부분을 마저 읽었다. 못내 마지막 글을 쓴 분에게 미안한 마음을 덜어낼 수가 없어서.)

책의 내용은 분명 (읽은 부분까지는) 8人 각자가 선택한 책과 그 책의 작가, 또는 선택한 책 자체로부터 파생될 만한 이야기, 8人 각자의 직업과 연관지어 풀어내는 이야기들에 있어 진지함을 견지하며 성실하게 자신의 이야기로 잘 풀어냈다. 한마디로 글은 잘 썼다.

책에 대한 이야기나 책을 둘러싼 사람들의 책에 대한 이야기에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유익하기 그지 없을 책이다.

하지만 내게는, 다른 차원의 정보(처음부터 지식적 관점으로 대한 잘못이겠지만) 같아서 유익하지 않음으로 남아버렸다. 그렇다고 다시 마음을 다잡고 다시 읽어볼 엄두는 내고 싶지 않다.

안타깝지만 이미 마음에서 멀어져 버렸기에. 이 마음이 어느 날 흐려지면 다시 읽을 지도 모르겠지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