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펠탑의 검은 고양이
아라이 만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0년 10월
평점 :
품절


⭐️⭐️
#에펠탑의검은고양이
#아라이_만
#김석희 옮김
#한길사


......


✏️
2년 전이다, ‘에릭 사티‘를 알게 된 것은.

그리고 그의 피아노 연주곡, <짐노페디>를 들으며 한동안 경이로움에 흠뻑 젖어 넋을 놓고 말았다. 짐노페디... 화려한 기교 단 1도 없이, 오히려 지극히 평범 그 이상의 평범한 음률만으로 전해지는 그 감동은 지금도 이 세상 그 무엇에도 비교되지 않을 안온함으로 언제나 내 영혼을 끌어 당긴다.

그렇게 짐노페디에 매료되어 일게 된 에릭 사티에 대한 관심으로 그에 대한 정보를 뒤적거리면서 그의 생애를 접하게 되었었는데, 그의 삶에서 관심이 크게 닿은 것은 오직 한 여인을 사랑했다는 점이다. 6개월도 채 안 되는 동안 사랑했고, 이별했고... 이후로 홀로 고독을 즐겼다는 모습이 꽤나 인상적이었다.


✏️
그러던 중에 에릭 사티에 대한 지극한 관심으로 에릭 사티에 대한 글을 쓰고 싶었다던, 그래서 결국에 에릭 사티의 이야기를 소설로 쓴 아라이 만의 <에펠탑의 검은 고양이>를 알게 되었다. 그것이 2021년 11월의 일이다.

그런데 그 책을 읽은 것은 최근이다. 거의 1년 반이 지나서...


✏️
소설 <에펠탑의 검은 고양이>는 나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다. 우선 이 책이 소설이라는 점부터, 특히 작가의 상상력에 기반해 에릭 사티의 삶이 그려졌다는 점이 작품을 읽는 내내 께름칙했다. 그러니까 전기(傳記)적 소설에서 너무 벗어나 있었다는 것이다. 사실성을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타당성이 입증될 만한 요소가 중심이 되어야 에릭 사티의 삶의 실제성에 공감이 될 터인데, 작가의 상상력이 너무나 개입되어 에릭 사티라는 실제 인물에 대한 삶의 실제성보다는 허구성으로 변질되어버리는 이상한 현상을 경험할 수밖에 없게 만들어버린 것이다. 그러다보니 에릭 사티의 삶이 너무 미화되었거나 왜곡되었을 것 같은 인상을 지울 수가 없었으며, 비록 아라이 만이 자신이 조사한 실제 자료를 기반하여 썼다 할 지라도 어디까지 믿어야 할 지조차 가늠할 수 없을 만큼 작품을 읽는 내내 불편함을 떨쳐낼 수가 없었다. 지속적으로 ‘이것이 사실일까‘를 반문하면서 읽는다는 것은 곤혹이었다.

분명 소설이기에 허구성을 감안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지만, 그럼에도 실제 인물에 대한 이야기임에 작가의 상상력이 개입하는 여지는 좀 덜어냈어야 하지 않았을까 싶다.

작가는 책의 뒷부분에서 ˝이 책은 사실을 토대로 하면서 그 위에 대담한 상상을 덧붙여 한 편의 소설로 만들어낸 것이다.˝라고 솔직한 고백을 하긴 하지만, 그렇게 대담한 상상을 덧붙일 요량이었으면 차라리 에릭 사티가 아닌 허구의 인물을 창조해 에릭 사티의 삶을 비유적으로 그려내는 게 더 나았을 지 모르겠다.


✏️
개인적으로 읽기는 했지만, 누군가에게 추천하거 싶지 않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