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튼, 잠 - 이보다 더 확실한 행복은 없다 아무튼 시리즈 53
정희재 지음 / 제철소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
<아무튼 시리즈>는

#위고 #제철소 #코난북스
이 세 출판사가 의기투합하여 진행하는 프로젝트성 에세이 출판물이다.


📖
나를 만든 세계, 내가 만든 세계
‘아무튼‘은 나에게 기쁨이자 즐거움이 되는,
생각만 해도 좋은 한 가지를 담은 에세이 시리즈입니다.


라는 타이틀로 지금까지 53개의 시리즈를 내놓았고, 이어 12개의 신작도 발표하였다.


......


✏️
정희재의 <아무튼, 잠>은 제목에서 충분히 알 수 있듯이 잠에 대한 이야기다. 작가는 14개의 에세이를 통해 신변잡기적 경험에서 인문학적 성찰에 이르기까지 잠에 대한 폭넓고 다양한 이야기를 전한다.


📖 책 뒷표지
˝잔다는 건 결핍과 욕망의 스위치를 잠깐 끄고 생명력을 충전하는 것. 잡념을 지우고 새로운 저장장치를 장착하는 것. 쓰라린 일을 겪고 진창에 빠져 비틀거려도 아주 망해버리지 않은 건 잘 수 있어서다. 잠이 고통을 흡수해준 덕분에 아침이면 ‘사는 게 별건가‘ 하면서 그 위험하다는 이불 밖으로 나올 용기가 솟았다. 잠은 신이 인간을 가엾게 여겨서 준 선물이라고 생각한다.˝


책의 소제목은 ‘이보다 더 확실한 행복은 없다‘이다. 작가는 잠이란 단순히 육체적 휴식에 그치는 행위를 넘어 우리 인간적 삶의 행복을 위한, 그리고 행복에 향한 의미를 무겁지 않게 잘 풀어낸다.


그리고 독자는 잠에 대한 개인적 사색에 충분히 잠식하게 될 것이다.


......


🎈
우연찮게 <아무튼 시리즈>를 알게 되었고, 나는 그 중에 유독 ‘잠‘에 관한 에세이를 탐독하게 되었다.


왜 잠이었을까?

나는 잠을 배척하는 경향이 심하다. ‘잔다‘는 자체를 인생에서 하나의 낭비로 생각하는 사람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잠이 백해무익한 것이라고 고집하는 것은 아니다.

나에게 잠은 ‘죽음‘과 맞닿아있다. 사실상 둘은 별개지만, 내게 있어서는 동급인 것이다.

다만, 죽음은 그 자체로 완결이지만 잠은 유보된 완결이다.

초등학교 시절 나는, 죽음이 끔찍하게 두려웠다. 그런데 어떤 이유로 난 죽음을 잠과 연관지어버렸고 잠이 들면 다시는 깨어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망상에 깊이 젖어 있었다.

그래서 잠자리에 눕는 순간부터 천장을 뚫어져라 바라보며 애써 잠에 빠져들지 않고자 무던히도 애를 썼었다. 당시 취침시간은 부모님에 의해 정해졌고, 식구가 자리에 눕게 되면 자연스럽게 형광등 불은 꺼졌고, 이내 방은 어둠으로 가득 채워졌다. 그 어둠 속에서 잠을 견딘다는 것은 어린 나이에 여간 버거운 행위가 아닐 수가 없었다. 그렇더라도 버틸만큼 버티다 뜬 눈으로 아침이 오는 소리를 얼마나 자주 듣게 되었는지 모른다.

그 버릇으로 나는 어두운 방에서 천정을 바라보는 것을 두려워하는 트라우마를 가지게 되었다.

그 어린 나이에 나는 왜 죽음이 그토록 끔찍했는지, 왜 죽음과 잠을 동일시했는지, 왜 그토록 잠들기를 고통스러워했는지... 지금은 그 이유를 기억하지 못한다.


......


🎈
중학교 시절, 물리과목 선생님은 특이한 분이셨다. 그 분은 선생님이라기 보다는 담당하는 과목이 물리라서 그런지 괴팍한 과학자에 더 가까운 이미지였다. 지금 그 선생님의 모습은 전혀 기억조차 없지만,

˝나는 하루에 1시간만 잔다. 1시간도 사치스러울 때가 있다.˝

라던 말만큼은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한다.

당시에 그 말이 어찌나 신비로웠던지, 그야말로 부러운 지경을 넘어 경이로움 그것이었다. 그래서 나 또한 하루 1시간만 자보고자 무던히도 시도하고 노력했다. 하지만, 결코 해내지는 못했다. 아예 잠들지 않을 수는 있었는데, 1시간만 잔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럼에도 그럴 수만 있다면 나는 1시간만 자고 싶다. 그런데 나에게 있어 잠이 많다는 현실은 참 이율배반적이지 않을 수가 없다.


......


✏️
정희재의 <아무튼, 잠>에서와 같이 잠을 찬양한다는 것은 내게 있어 아직은 거리가 먼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