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만의 방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0
버지니아 울프 지음, 이미애 옮김 / 민음사 / 200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
˝여성이 픽션을 쓰기 위해서는 돈과 자기만의 방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10쪽)

˝나는 그저 다른 무엇이 아닌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 훨씬 중요한 일이라고 간단하게 그리고 평범하게 중얼거릴 뿐입니다.˝ (167쪽)


<자기만의 방>은 위 두 문장으로 축약할 수 있다랄까. 그렇다고 이것이 170여 폐이지에 걸쳐 버지니아 울프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전부가 될 수는 없을 지라도, 자신의 이야기는 독립적 존재로서, 자유적 주체로서 온전한 자신이 되는 픽션이 되어야 한다는 귀결은 분명 존재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어찌보면 <자기만의 방>이 던지는 주제를 파악하는 일은 중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여성이 글을 쓰기 위해서는 재정적 안정과 독립된 공간, 즉 연간 500파운드의 고정 수입과 자물쇠 달린 자기만의 방이 필요하다는 버지니아 울프의 외침보다는 그를 행하는 또는 행해야 할 여성이 우선 도달해야 할 목적지에 대한 깨우침을 우선이지 않을까. 다시 말해 독립적 존재 또는 자유적 주체에 대한 개념의 실체적 의미를 현실적으로 자각하는 일, 특히 남성중심사회의 역사적 맥락에서 조장된 허구들을 제대로 파악하여 남성들에 의해 구성화된 여성 존재의 실체를 재구성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여성이라는 존재성은 당신이 정한 것인가, 사회가 정한 것인가. 여성은 존재인가, 구성요소 내지는 사회존속을 위한 역할인가.

여성은 살아 존재하는가, 역할로 구성하는가.

......

<자기만의 방>은 이번에 번역본을 달리하여 두 번째 접하게 되었다. 첫 번째는 펭귄 클랙식 본이었고 이번은 민음사 본이다. 그런데 이번에 읽는 내내 버지니아 울프의 위대함보다는 시종일관 의식은 곁길로 빠져나가 나혜석을 떠올리며 주목하고 있었다.

시기적으로 동시대를 살았던 버지니아 울프와 나혜석. 버지니아 울프는 1882년에서 1941년까지, 나혜석은 1896년에서 1948년까지. 거의 동시대 인물이다. 하지만 우리는 나혜석을 버지니아 울프만큼 기억하지는 않는다.

마치 나혜석의 마지막 모습처럼... 나혜석의 마지막 신분은 행려병자였고, 아무도 모르게 길에서 홀로 외롭게 죽어갔다.

......

정말 바빴다. 바빠서 더 게으름을 피웠나 보다. 3주 전부터 읽은 책들만 쌓여가고, 정리를 못했다. 오랜만에 여유랄까... 바쁠 때는 여유롭고 싶고 여유로워지면 뱌쁘고 싶고... 이 지랄같은 인간 궁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