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과 선귤당의 대화 - '종북소선'의 평점비평 연구
박희병 지음 / 돌베개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말한다,
이덕무에 대해 통틀어 현시점에서 돌이켜 볼때
많은 것이 평가절하 된 듯 느껴져 심히 불편하다고.
이 부분을 읽을 땐 상당부분 저자의 견해와 일치했다.
우리의 고전들, 여기서 고전이라 함은
한글이 주로 쓰이기 시작한 이전 시대에 저술된
한문으로 쓰여진 책들을 말하고자 함인데,
이런 고전에 관심은 많으나 직독직해 할 능력이 못되기에
항상 이런 책들을 편역해 내는 오늘날의 한학자들의 노고에
매우 고마워하고 그들의 책에 감사하고 있는 입장에서
이런 고전들을 현대적인 해석과 도판으로 접할 수 있어
남의 노고를 너무 쉽게 취하고 있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덕무.
그의 이름을 몰라야 할 사람이 많은데
상상컨데 예상외로 이 이름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을지 모른다.
왜냐면, 고전과 옛 선비들에 관한 책들이 한동안 많이 선보이면서
이덕무하면 꽤나 오르내리던 이름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때문에 이덕무란 이름도 더 알려지긴 했어도
이 책의 저자 입장에선 제대로 알려졌다 못느낄 수 있다.
왜냐면, 짤막한 일화들 속에서 그의 모습은
무식하게 책을 읽어대는 이미지로만
상당부분 인식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서론은 이쯤 접고 책을 살펴보고 싶다.
'종북소선'이란 이덕무가 연암의 글을 뽑아 일종의 평론집이다.
그걸 다시 이 책의 저자가 다시 한번 해설의 수고를 더했으니
'평론집을 위한 평론집'쯤 된다고 생각하면 맞을 듯 싶다.
이 해설집과 동시에 원본이 되는 '종북소선'도 출간됐다고 알고있는데,
여기서 왜 이 책의 저자는 '종북소선'에 이리
관심을 가질까 궁금해 질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간추려보자면, 그리고 거기에 나름의 느낌을 더하자면
박지원이란 현재 정약용과 더불어 점점 더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 문장가의 글이 중심뼈대를 이루고
박지원 스스로 평가한 자평서인 줄만 알았던
종북소선에 대해 실제 저자인 이덕무의 글을 느껴볼 수 있음으로써
독자에게 전달해 줄 수 있는 지식의 시너지가
무척 크다고 보진 않았을까 싶다.
나 스스로 짦은 평을 쓰고 있으면서도
두사람의 정수를 느낄 수 있는 한 고전에 대해
너무 허술한 평을 내리고 있진 않은가 내심 걱정된다.
이 책을 읽고 원본까지 읽는다면야 더욱 금상첨화겠지만
해설집만을 접한다 해도 분명 얻는게 많으리라 장담하고 싶다.

 

해설의 도구로써가 기본 골격이기에
이 책이 분명히 해설집으로써의 모습이 가득하지만
박지원의 글과 거기에 달린 이덕무의 미평은
결코 허술하지 않게 실려있다.
'미평'은 원본 상단에 일정한 칸을 만들어 두고
이덕무 자신의 평을 서술해 놓은 것을 뜻하는데
이런 미평을 포함한 모든 장치들을 역자 박희병씨는
'탁월'하고 '독창적'이라 풀이한다.

 

한문으로 씌여진 옛 선조의 책들이
엄청나게 잊혀져 가는 중인 것으로 안다.
번역을 담당하는 기관도 있고,
어느 부분들은 해석이 완역돼 있어
웹으로 그 해석에 접근이 용이하도록
편리한 정보제공도 되고 있지만
내가 알기론 상당부분 전문가들의 시각에선
한참 못미치는 아쉬운 성과라 한다.
이런 시점에서 이런 책들의 등장은
정말 인식을 가진 이들이라면 고마워하고
반드시 곁에 두고 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타의에 의해서건, 아님 자의라면 더 좋을 그런 노력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