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더글러스 호프스태터의 화제의 책 ‘괴델, 에셔, 바흐’의 개역판이 나왔다. 원작이 나온 것은 1979년, 첫 번역본이 나온 것은 1999년, 개역판이 나온 것은 2017년이니 원작과 첫 번역본, 첫 번역본과 개역판 사이에는 각각 20년과 18년의 세월이 가로 놓인 것이다.

1999년 나온 첫 번역본은 번역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 비등(沸騰)했었다.

물론 이번에는 좋은 번역이라는 이야기가 이어지고 있다. 새 번역자가 번역을 맡은 것이 아니라 ‘첫 번역자 + 공동 번역자 한 분‘의 시스템으로 번역이 이루어진 것이 특이하다.

번역에 문제가 있었다 해도 새로운 분 홀로 전면적으로 책을 새롭게 번역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두 필지(筆地)의 땅을 마련한 뒤 한 필지에만 건물을 짓고 20년이 지나면 그 건물을 지은 사람들의 노하우를 전수받으며 해당 건물을 보며 비워두었던 필지에 똑같은 건물을 짓고 옛 건축물은 허무는 식년천궁(式年遷宮) 방식을 택하는 일본의 이세 신궁(神宮)이 생각나는 부분이다.

놀라운 사실은 그 잘못된 번역본을 읽고 감동받았다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점이다.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당연히 그런 사람은 믿을 게 못 된다.

사실 영어를 잘 하지 못하는 나조차 원서를 찾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을 만큼 우리 나라 번역서들의 수준은 문제가 있다.

도무지 이해하지 못할 구절을 보며 내 문해(文解) 능력을 탓하기도 했고 해당 책을 쉽게 해설한 책을 찾아 읽기도 했고 내공이 쌓이고 읽으면 이해할 수 있으리라며 나를 다독거리기도 했다.

물론 정확하고 유려한 번역 실력을 자랑하는 전문 번역가의 책들이 더 많을 것이다.

하지만 잘 된 번역서와 엉터리 번역서의 비율이 문제는 아니다. 번역이 잘못된 단 한 권의 책만으로도 문제는 충분하다.

두 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겠다. 그 문제 많은 번역본을 술술 잘 읽었다는 경우와 도무지 진도가 나가지 않았다는 경우로.

다만 진도가 나가지 않아 힘들었다는 사람들 가운데는 잘 된 번역본으로 읽어도 이해력 자체가 떨어져 읽기에 어려움을 드러낼 부류들도 있을 것이다.

’괴델, 에셔, 바흐‘는 쿠르트 괴델의 불완전성의 원리,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셔의 그림,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캐논을 관통하는 ‘이상한 고리‘를 통해서 우리의 의식이라는 신비를 파헤치는 책이다.

이제 읽다가 그만 두었던 첫 번역본의 기억은 버리고 새 번역본을 읽어야겠다. 내 현주소를 확인할 기회이다. 괴델, 에셔, 바흐 모두 경탄할 만한 인물들이기에 기대 만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르트르의 ‘책읽기와 글쓰기’를 다시 본다. 삼문이란 출판사에서 나온 1994년 버전의 책이다.

이 책에서 사르트르는 “내게는 초자아(超自我)가 없다는 어떤 유명한 심리 분석학자의 판단에” “기꺼이 동의하겠다.”는 말을 한다.

훌륭한 아버지란 있을 수 없다는 말은 인간 자체가 나쁘다는 의미가 아니라 부자 관계라는 것이 원래 썩어빠진 것이라 말하며 사르트르는 아버지의 죽음을 일러 “다행히도 그는 일찍 죽었다.”는 말을 더한다.

수많은 프랑스 작가들이 어린 시절에 아버지를 잃었거나 알지 못한 채 자랐다. 샤를르 페기, 기욤 아폴리네르, 앙드레 지드, 몽테를랑, 앙드레 말로, 루이 아라공, 사르트르, 카뮈...(김화영 지음 ‘프랑스 문학 산책’ 288 페이지)

이렇게 사르트르를 이야기한 것은 한 유명 심리학자의 책 때문이다. 이 책에는 저자가 회상한 아버지 이야기가 들어있다.

저자는 친일파에 공산당이라는 의심을 받아 식구들이 몰살될 위기에 처하자 자신의 아버지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열여섯의 나이에 학도병에 지원하지 않았나 싶다고 말한다.

그리고 자신의 아버지가 사막에서 고생하실 때 자신은 중고교와 대학교를 다녔다고 말한다.

특히 유신 독재 타도를 외치다가 매 맞고 끌려가는 대학 동급생들의 모습을 보고 자못 비장한 표정으로 자본주의의 폐해와 군부 독재의 부당함에 대해 떠드는 딸의 논리를 들으시던 아버지의 복잡한 표정이 지금도 생생하다고 말하는 저자는 당신 덕에 온실 속 화초처럼 자란 딸이 일제 청산이니 노동 운동이니 독재 타도니 민주화 투쟁이니 하는 단어들을 떠들었으니 그 말들이 얼마나 공허하게, 아니 얼마나 가슴 아프게 들렸을까 싶기도 하다는 말을 더한다.

나는 이념의 덫에 빠지는 것도 따지고 보면 남들에게 보이는 가면 즉 페르소나에 대한 집착에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라는 저자의 말에, 그리고 이념도 어디까지나 사람들이 잘살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자 도구일 뿐이라는 저자의 말에 일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럼 우리는 어떤 경우에 일제 청산, 노동 운동, 독재 타도 등을 위해 나설 수 있는가?

제논의 역설이 물리적 차원의 운동은 불가능한가, 라는 질문을 던지듯 전기한 심리학자 저자의 글은 우리 사회를 좀 더 살만한 세상으로 만드는 운동(투쟁)은 불가능한가, 라는 질문을 던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피서(避書)라는 말을 기억하는데 한 인터넷 서점에서 피서(披書)라는 말을 썼다.

피서(避書)는 책에 지친 사람에게 잠시 책을 떠나라는 의미를 담은 말이다.

일찍이 김영민(철학자)은 책을 읽다 싫증나면 계속해서 책을 읽으라는 말을 전했다.(‘공부론‘ 165 페이지) 각나간서 즉차간서(覺懶看書 則且看書)라는 말이다.

피서(披書)는 책을 나눈다는 말이다. 그제 나는 피서 입서 소한 소한(避暑 入書 消汗 逍閑)이라는 말을 만들었다.

문법적으로 맞는지 장담할 수 없지만 ’더위를 피해 책의 세계로, 땀을 식히고 한가하게 노니는‘이란 의미가 담겼다.

힘들기에 책을 피하는 피서(避書)의 세계에서 힘들어도 거듭 책을 읽는 세계를 만드는 입서(入書)로 변화했으되 한가하게 노닐기를 바라는 쪽으로 바뀐 것이다.

찜통 더위가 연일 가동되는 것을 보며 마음으로라도 그런 세계를 상상하려고 지은 것이다.

경회루 연못을 만들 때 파낸 흙으로 만든 가산(假山)인 경복궁 아미산(峨眉山)에는 두 개의 연못이 있다.

하나는 노을이 내려앉은 연못이라는 뜻의 낙하담(落霞潭), 다른 하나는 달을 머금은 연못이라는 뜻의 함월지(涵月池)이다.

그런데 이 연못들은 아름답고 시적인 비경을 상상하라는 뜻으로 돌에 이름을 새긴 가상의 연못들이다.

낙하담과 함월지처럼 나도 더위를 피해 책 속에서 한가하게 노니는 것을 상상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육고 또는 육가陸賈는 한 고조 유방劉邦에게 이런 말을 했다. “말 위에서 권력은 얻어도 말 위에서 천하를 다스릴 수는 없다.”

그런가 하면 ‘금강경’에는 이런 가르침이 있다. “나의 가르침은 뗏목과 같다. 법조차 버려야 하거늘 하물며 비법(非法)이겠느냐?”

이 말들은 모두 탈 것(vehicle)으로 세상사를 비유한 말들이다. 소승(小乘)과 대승(大乘)을 나누는 불교 자체가 탈 것과 친숙한 종교이다.

다만 남방불교도들은 스스로를 소승이라 칭하지 않는다.

매너리즘에 빠져 답이 보이지 않을 때 지금껏 자신이 의거(依據)해온 중요한 지침이나 원칙을 회의적으로 바라보게 되는 것이 인지상정인 것 같다.

나는 “말 위에서 권력은 얻어도 말 위에서 천하를 다스릴 수는 없다.”는 말을, 부지런한 성실함으로 글을 잘 쓸 수는 있어도 책을 쓰는 것은 별개라는 말로 듣는다.

그리고 “나의 가르침은 뗏목과 같다. 법조차 버려야 하거늘 하물며 비법(非法)이겠느냐?”는 석가모니의 말씀은 변화에 맞추어 지체하지 않고 버릴 것은 버려야 한다는 말로 듣는다.

잘 나가면 단점이 잘 드러나지 않기 마련이다. 드러난다 해도 문제라 생각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세상은 고정불변하는 것 즉 비생물체가 아니어서 유연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물론 원칙을 지키는 한도 안에서 그래야 하리라. 그러나 위기가 도리어 기회인 경우로 만드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가네코 후미코(1903 - 1926)에 대해 안 것은 김혜영 시인의 산문집 ‘아나키스트의 애인’을 읽고서이다.

의열단 아나키스트 박열(朴烈: 1902 – 1974)의 애인으로 일왕 암살을 기도한 남다른 삶을 살다 간 가네코 후미코에 대한 글인 동명의 표제작 ‘아나키스트의 애인‘에서 저자는 자신의 시 ’가네코 후미코‘의 긴 전문을 인용한다.

‘가네코 후미코‘는 저자가 왜 그녀를 소재로 시를 쓰게 되었는지를 설명한 글이다.

˝슬픈 시체/ 아버지의 나라를 배반하고/ 천황을 살해하려던 마녀의 몸에서/ 향긋한 벚꽃이 피어났다˝ 같은 구절이 내게는 감동적으로 다가왔다.

하지만 그 이상으로 인상적인 부분은 “사랑하는 박열의 품에 안겨/ 콧노래를 부르며 책을 읽던 그녀가/ 봄비를 맞으며/ 나의 서재를 다녀갔다”란 마지막 구절이다.

저자의 삶과 가네코 후미코를 연결지은 참신한 조합 때문일 것이다.

˝가네코 후미코의 시체는/ 박열의 고향인 문경에 묻혀 있다/ 무덤에서 걸어 나온 후미코가/ 동경대학 도서관으로/ 걸어간다˝는 구절까지 저자는 가네코 후미코의 삶을 책과 연결짓는다.

이 마지막 구절이 강하게 내 마음을 다녀간 기억이 떠오르곤 한다. ‘밀정‘이나 ‘박열‘ 등의 관련 영화를 보며 2년 만에 다시 시인의 산문집을 펼쳐 본다.

가네코 후미코는 박열의 시 ’개새끼‘를 읽고 감동을 받아 박열의 애인이 된 일본 분이다. 물론 정확히 말하면 가네코 후미코가 박열의 시를 읽은 것을 계기로 아나키스트들과 교류하다가 박열을 만난 것이라 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저자는 왜 가네코 후미코가 자신을 찾아 왔다 갔다고 하지 않고 자신의 서재를 다녀갔다고 한 것일까?

가네코 후미코가 박열과 다정하게 앉아 책을 읽는 사진을 보고 ’가네코 후미코‘란 시를 쓴 남다른 인연을, 가네코 후미코가 자신의 서재를 다녀간 것으로 마무리 지은 것일까?

2016년 6월 30일 등 지난 몇 차례 고종의 서재인 경복궁 집옥재를 관람한 이래 어제는 고종의 침전 및 편전으로 사용된 뒤 고종 승하 후 일본에 의해 미술관으로 개조된 석조전이 있는 덕수궁에 다녀왔다.

8월 2일 강녕전에서 집옥재에 이르는 경복궁 내전(內殿) 시연을 앞두고 있는 나로서는 석조전 이야기가 고종의 책 이야기를 풍성하게 할 좋은 소재로 여겨진다.

가네코 후미코의 책, 고종의 책, 그리고 내 인생의 책을 하나로 꿰어 시나리오에 담을 여지가 있을까? 새로운 과제를 만난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