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글러스 호프스태터의 화제의 책 ‘괴델, 에셔, 바흐’의 개역판이 나왔다. 원작이 나온 것은 1979년, 첫 번역본이 나온 것은 1999년, 개역판이 나온 것은 2017년이니 원작과 첫 번역본, 첫 번역본과 개역판 사이에는 각각 20년과 18년의 세월이 가로 놓인 것이다.

1999년 나온 첫 번역본은 번역에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 비등(沸騰)했었다.

물론 이번에는 좋은 번역이라는 이야기가 이어지고 있다. 새 번역자가 번역을 맡은 것이 아니라 ‘첫 번역자 + 공동 번역자 한 분‘의 시스템으로 번역이 이루어진 것이 특이하다.

번역에 문제가 있었다 해도 새로운 분 홀로 전면적으로 책을 새롭게 번역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두 필지(筆地)의 땅을 마련한 뒤 한 필지에만 건물을 짓고 20년이 지나면 그 건물을 지은 사람들의 노하우를 전수받으며 해당 건물을 보며 비워두었던 필지에 똑같은 건물을 짓고 옛 건축물은 허무는 식년천궁(式年遷宮) 방식을 택하는 일본의 이세 신궁(神宮)이 생각나는 부분이다.

놀라운 사실은 그 잘못된 번역본을 읽고 감동받았다는 사람들이 있었다는 점이다.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당연히 그런 사람은 믿을 게 못 된다.

사실 영어를 잘 하지 못하는 나조차 원서를 찾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을 만큼 우리 나라 번역서들의 수준은 문제가 있다.

도무지 이해하지 못할 구절을 보며 내 문해(文解) 능력을 탓하기도 했고 해당 책을 쉽게 해설한 책을 찾아 읽기도 했고 내공이 쌓이고 읽으면 이해할 수 있으리라며 나를 다독거리기도 했다.

물론 정확하고 유려한 번역 실력을 자랑하는 전문 번역가의 책들이 더 많을 것이다.

하지만 잘 된 번역서와 엉터리 번역서의 비율이 문제는 아니다. 번역이 잘못된 단 한 권의 책만으로도 문제는 충분하다.

두 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겠다. 그 문제 많은 번역본을 술술 잘 읽었다는 경우와 도무지 진도가 나가지 않았다는 경우로.

다만 진도가 나가지 않아 힘들었다는 사람들 가운데는 잘 된 번역본으로 읽어도 이해력 자체가 떨어져 읽기에 어려움을 드러낼 부류들도 있을 것이다.

’괴델, 에셔, 바흐‘는 쿠르트 괴델의 불완전성의 원리, 마우리츠 코르넬리스 에셔의 그림,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캐논을 관통하는 ‘이상한 고리‘를 통해서 우리의 의식이라는 신비를 파헤치는 책이다.

이제 읽다가 그만 두었던 첫 번역본의 기억은 버리고 새 번역본을 읽어야겠다. 내 현주소를 확인할 기회이다. 괴델, 에셔, 바흐 모두 경탄할 만한 인물들이기에 기대 만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