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7년 후
기욤 뮈소 지음, 임호경 옮김 / 밝은세상 / 2012년 11월
평점 :
부부싸움 중 주된 원인 중 하나가 자녀 문제이다. 서로 불만이 있더라도 아이들 문제가 없다면 큰 싸움까지 안갈 수 있지만 아이 양육에 대한 문제가 불거질 경우 다툼이 커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 속 주인공 세바스찬과 니키도 아이 문제로 이혼을 한 경우이다. 이혼하면서 쌍둥이는 부모를 따라 헤어질 수밖에 없었고, 이후 7년이라는 세월이 흐른다.
10대가 된 아이들은 부모에게 언제나 걱정의 대상이다. 이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어느 날 갑자기 사라져버린 아들을 찾아 오랜만에 재회한 부부는 점점 엄청난 사건들 속으로 빠져들고 급기야 도망자 신분이 된다.
기욤 뮈소의 책을 몇 권 읽었지만 이 책은 내가 읽은 다른 책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스릴 있어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으로 읽을 수 있었다. 3개국에 걸친 로케이션 촬영 같은 직접적인 묘사와 치밀한 사전조사로 이루어진 사건 전개 덕분에 생생하게 상상하며 읽었다. 물론 빠르게 넘어가는 책들이 그렇듯 특별한 깊이는 없어 보이지만 말이다.
깨어진 가정이 다시 회복될 확률이 얼마나 될까? 이혼으로 상처받는 건 당사자뿐 아니라 자녀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며 새삼 국적을 불문하고 가정의 소중함에 대해 동일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이 책에 여러 번 등장하는 마르케스의 <<콜레라 시대의 사랑>> 얼마 전 재미있게 읽어서인지 더 반가웠다. 세바스찬이 유명 바이올린 제작자라는 것, 그리고 감초처럼 등장하는 클래식 음악의 제목들이 친근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223/pimg_7627811031594720.jpg)
- 세바스찬은 제레미의 사진을 달빛에 비추어 뚫어지게 쳐다보았다. 그들의 관계는 애매했다. 아버지와 아들치고는 너무나 소원하게 지내왔고, 무수히 많은 오해들이 쌓여가는데도 풀 생각을 하지 못했다. 세바스찬은 물론 제레미를 사랑했다. 그 사랑은 따뜻한 마음과 스킨십이 결여된 사랑, 공통의식이 전혀 없는 추상적인 사랑이었다. 그렇게 된 것에 대한 책임은 대부분 그에게 있었다. 그는 한 번도 제레미를 따스한 눈길로 바라본 적이 없었다. 항상 카미유와 비교하기 일쑤였고, 두 아이가 선의의 경쟁을 펼칠 때에도 은근히 카미유를 응원한 적이 많았다. (267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