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글쓰기 연습법, 베껴쓰기
송숙희 지음 / 대림북스 / 201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846054073

 

  글을 잘 쓰고 싶다고 하면서 글쓰는 데 시간을 들이지 않는 사람은 밥 숟갈을 뜨지 않고 밥을 먹겠다는 것과 같습니다. 글쓰기를 연마하려면 그만큼 읽고 쓰기를 열심히 해야 합니다. 창조는 모방에서 비롯된다는 말처럼 다른 이의 좋은 글을 따라 쓰다 보면 문장구성 능력이 튼튼해질 것이고, 언제 어디에서 글을 쓰더라도 매끄러울 것입니다. 머리 속에서만 이렇게 써야지, 한다고 글이 나오는 것이 아닙니다. 반드시 손으로 쓰든 타자를 치든 손을 움직여야 합니다. 그 과정에서 우리의 두뇌는 보다 복잡한 움직임을 하게 될 것입니다.

 

  많은 대가들이 처음부터 글을 잘 쓴 것은 아닙니다. 많은 수련 기간을 거쳐 자기만의 문체와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힘을 갖추었을 때 그 글이 더 빛나게 됩니다. 그전날 읽은 <<인간의 굴레에서>>를 쓴 서머셋 모옴도 그 이야기를 시간이 지나 다시 썼을 때 사람들의 사랑을 받게 된 것처럼 쓰면 쓸수록 글솜씨도 더 늘 것입니다.

 

  매일 아침에 바이올린 연습을 하러 가면서 느낀 것은 매일 일정하게 무슨 일을 꾸준히 하면 그 성과가 눈에 뜨일 만큼 큰 결과로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아침 달리기를 한 하루키가 달리기에도 일가견을 보였듯 아침 시간에 무엇을 규칙적으로 하느냐에 다라 우리가 발전할 수 있음을 믿습니다. 매일 규칙적으로 (특히 아침시간을 활용하는 대가들이 많습니다.) 글을 쓴다면 글쓰기가 서툴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 매일 새벽에 눈을 뜨면서 간절하면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실감합니다. 글 쓰기가 절박한 사람이라면 아침 시간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에 글을 쓰면서 메모공책에 베껴쓰던 것을 타자로 치기 시작했습니다. 시간은 더 적게 걸리지만 손으로 직접 쓰는 것보다는 효과가 덜할 것 같습니다. 아무리 디지털 기계가 발달해도 아날로그적인 노작활동만큼 우리의 두뇌를 발달시키는 것은 없을 것 같습니다. 매일 시를 한두 편 필사했다 좋은 것들을 모아 자신만의 필사 시집을 만든 안도현님처럼 나도 규칙적으로 베껴쓰기를 실천해 보고 싶습니다.

- 김연수 작가는 매일 한두 편의 시를 써서 시집 분량이 되면 옥석을 가려 대학노트에 정서하여 한 권의 시집을 만든다. 앞 페이지에 서문도 쓰고 제법 시집 모양을 갖춘 필사본 시집을 다섯 권이나 만들었다고 한다. 이 작업을 통해 그가 느낀 것은 시가 점점 좋아진다는 것이다. (188-18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