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의 일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11월
평점 :
품절


 

 

  얼마 전에 읽은 책에서 언급되었던 이 책을 구입하려다 도서관에서 먼저 빌려 읽었다. 이름이 낯설지 않다 했더니 얼마 전에 읽은 책에 대한 책을 쓴 작가였다. 원래 시인이었는데 소설도 쓰고 에세이도 쓴다고 한다. 그가 쓴 작품들을 많이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이 책을 통해 유쾌하면서도 밝은 작가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책은 글쓰기에 관한 책인데도 딱딱하지 않고 소설처럼 재미있다.

 

  소설가는 글을 쓰는 사람이기도 하지만 끊임없이 자신이 쓴 글을 고치는 사람이라는 것을 김연수 작가도 이야기한다. 자신의 초고는 너무나 보잘 것 없으며 고쳐 쓸수록 좋아진다는 것은 어느 작가든 동일하게 말하는 바다.

 

  작가가 현대소설을 추리소설의 일부라고 이야기한 것에 동의하고 싶다. 요즘 읽는 책을 보면 첫 부분에서 궁금증이 생긴다. 어쩌다 이렇게 되었을까? 왜 이러고 있을까? 그런 의문이 있어야 이야기가 어떻게 펼쳐질까, 하는 마음에 계속 책을 잡고 있게 된다. 어떤 책은 마지막에 가서야 그 이유를 비로소 이야기하기도 하고, 어떤 책은 아예 베일에 싸인 채 독자들 마음대로 상상하게 두기도 한다. 나에게 부족한 부분이 바로 이것이 아닐까?

 

  김작가가 여행지에서 작품을 하나씩 썼다는 것이 인상적이다. 제주도에서 하나, 외국 어디에서 하나……. 누군가는 여행을 갈 형편이 안 되어 못 쓰겠다하는 핑계거리를 댈 수 있는 조항이다. 여행을 가면 일상의 끈을 어느 정도 끊을 수 있으니 작품에 몰입할 수 있다는 것은 거의 확실한 일이다. 무라카미 하루키도 외국에서 작품을 많이 썼다고 하는 걸 읽은 기억이 난다. 그렇다고 책 쓰자고 무작정 여행을 갈 수는 없는 일이다. 일상에서 잠시 동안 스스로를 격리할 곳을 찾아 규칙적으로 글을 써야겠다. 이런 책을 읽고 나면 마구 글 쓰고 싶어진다. 그래서 자꾸 읽게 되나보다.

 

- 1932년 자신의 첫 소설인 <<북회귀선>>을 쓰면서 헨리 밀러가 창안한 11계명 (24-25쪽)

1. 한 번에 하나씩 일해서 끝까지 쓰라.

2. 새 소설을 구상하거나 <<검은 봄>>(그의 두 번째 소설)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지 마라.

3. 안달복달하지 마라. 지금 손에 잡은 게 무엇이든 침착하게, 기쁘게, 저돌적으로 일하라.

4. 기분에 좌우되지 말고 계획에 따라서 작업하라. 정해진 시간이 되면 그만 써라!

5. 새로 뭘 만들지 못할 때도 일은 할 수 있다.

6. 새 비료를 뿌리기보다는 매일 조금씩 땅을 다져라.

7. 늘 인간답게! 사람들을 만나고, 이런저런 곳에 다니고, 내킨다면 술도 마셔라.

8. 짐수레 말이 되지 말라! 일할 때는 오직 즐거움만이 느껴져야 한다.

9. 그러고 싶다면 계획을 따르지 않아도 좋다. 하지만 다음 날에는 다시 계획으로 돌아와야만한다. 몰입하라. 점점 좁혀라. 거부하라.

10. 쓰고 싶은 책들을 잊어라. 지금 쓰고 있는 책만을 생각하라.

11. 언제나 제일 먼저 할 일은 글을 쓰는 일.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듣고 친구를 만나고 영화를 보는 등, 다른 모든 일은 그 다음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