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리는 집
황선미 지음, 이철원 그림 / esteem(에스티임) / 201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805385542


  아파트 생활이 늘어나면서 집이라는 개념이 유형의 형태보다는 가족이 모이는 곳이라는 의미로 많이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과거에는 각자 다른 모양의 집이 있어 노란지붕 집대추나무 집 같은 특색을 이름으로 부르기도 했지만 지금은 몇 동 몇 호로 나타냅니다한편으로 편리하지만 정감이 사라진 집입니다.

 

  집에 돌아가면 할머니할아버지엄마아빠가 보글보글 된장찌개를 끓여 놓고 기다리던 옛날에 비하면 지금은 아이들만 들어가 시간을 보내는 집이 많습니다워낙 바쁜 세상인 데다 돈 없이는 잠시도 버티기 힘들어졌기 때문에 많은 부모님들이 생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이 책을 읽으며 나도 많이 찔렸습니다직장이다공부다 하며 밖에 있는 시간이 많은 만큼 기다려야 할 부모가 아닌 기다리는 아이들을 만들어 놓은 건 아닌가 하는 생각에 미안해졌습니다.

 

  이 책은 어른과 함께 읽는 동화인데 내용은 무섭습니다가족들이 떠나고 노모가 혼자 지키다 돌아가시면서 집은 폐허가 됩니다한 때 따스한 가족이 살았을 그곳은 귀신이 나올 법한 흉물로 변합니다언제부턴가 들려오는 아이들 울음소리한 엄마가 아이들만 두고 떠납니다어느 날 집을 고치는 수상한 남자와 그를 지켜보는 동네 사람들의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이웃에 누가 이사와도 신경쓰지 않는 요즘 시대에 이런 동네가 아직 있다는 것이 정겹긴 하지만 동네 사람들은 그만큼 새로운 인물에 경계를 하고 봅니다가족을 잃은 사람들은 비슷한 상처를 가진 사람을 찾기도 합니다낯선 남자 곁에서 일을 돕는 아이도 생기고그 아이를 괴롭히던 아이도 조금씩 변합니다이 마을은 과연 낯선 이를 이웃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이웃이 있다는 건 한편으로는 든든하지만 사생활이 노출된다는 점에서 불편함도 없진 않을 것 같습니다나쁜 어린이표와 마당을 나온 암탉으로 유명해진 작가의 작품인 이 책은 둘과는 조금 다른 느낌입니다짧은 이야기를 읽으며 이웃과 가족그리고 집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