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만, 내면의 풍경
미셸 슈나이더 지음, 김남주 옮김 / 그책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752484963

 

  출판업자의 아들, 촉망받는 음악가이자 평론가, 클라라와의 결혼을 위해 장인과 법정투쟁을 벌였던 사람, 그가 바로 슈만이다. 하지만 그의 말년은 사람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성격 때문인지 그가 맡았던 연주단체의 무거운 책임감 때문인지 아니면 집안 내력으로 인함인지 정신병을 앓게 된다. 이 책의 시작은 그가 클라라에게 짐이 되지 않기 위해 선택했던 라인강 투신 장면이다. 그의 어린 시절이나 음악가로서의 성공기가 나오지 않고 어두운 인생 말년만 나와서 그의 음악도 그렇게 어두울까 했더니 어린이 정경을 떠올리면 그렇지만도 않은 것 같다.

 

  고통 속에서도 창작활동을 놓지 않았던 슈만에게 음악은 치료책이었을까, 그를 망가뜨린 장본인이었을까? 글을 쓰며 슈만의 바이올린 콘체르토와 소나타를 들으니 왠지 고통스럽던 그의 숨결이 느껴지는 듯하다. 슈만을 사랑했던 클라라와 클라라를 사랑했던 브람스, 독일 낭만주의 음악가들의 로맨스라고 단정하기엔 그들이 겪었을 개인적 고통의 크기를 짐작하기 어렵다. 물론 사랑과 고통이 창작의 단초가 되기도 했을 것이다.

 

  음악가에 대해 조금씩 더 알게 될수록 그들의 음악을 조금 더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생각을 글이 아닌 음악으로 표현했던 작곡가들의 삶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게 그들의 작품들이니까. 그렇게 생각하면 요즘 음악하시는 분들이 모두 유럽으로 유학가길 꿈꾸고, 실제로 유럽에서 재능을 마음껏 펼치는데 그렇게 배우고 돌아와도 교수 자리나 공연 기회가 많지 않은 것이 아쉽다. 국가적인 지원으로 음악가들이 마음껏 연주하고, 작품 활동할 수 있도록 국제적 음악학교를 만들어 외국에서 우리나라로 유학을 오는 시대가 되기를, 우리나라의 수준 높은 클래식 공연을 보기 위해 주변 국가에서 여행을 오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 1839년, "즐거움과 고통, 나는 그것을 당신과 함께 나눌 거야"라고 슈만은 클라라에게 쓴다. 하지만 그는 고통이 누구와도 나눌 수 없는 것임을 차츰 알게 된다. "당신에게 고백하는데 나는 더는 기도를 할 수 없어. 그 정도로 고통이 나를 굴복시켰어. 고통은 나를 무감각하게 만들어버렸어." (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