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펄 벅의 인생 수업 - 여자를 위한 아름다운 고전 ㅣ 딸아, 너는 인생을 이렇게 살아라 2
펄 벅 지음, 이재은 옮김 / 책비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721972794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여러 국가들에서 오랫동안 유교의 영향으로 여자는 결혼해서 아이 낳고 집안일 잘 하는 것이 최우선이라는 생각을 가져왔었다. 산업사회가 되면서 여성 노동력이 필요해지자 사회로의 진출을 장려하기 시작하면서 여성 본연의 임무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여성들에게 교육의 기회도 늘어나고 사회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고하게 세워 나가는 여성들이 늘었다. 하지만 여전히 과거의 인습에 얽매여 다른 여자들은 다 해도 내 아내는 안 된다는 생각이 팽배한 것도 사실이다. 벌써 수십 년 전에 펄 벅이 여성들의 삶에 대해 통찰하고 글을 써 지금까지도 적용된다는 것이 놀랍다.
지금이야 여성들의 삶에 관한 책들이 우후죽순처럼 쏟아져 나오지만 그녀가 살았던 당시만 해도 흔치 않은 일이었을 것이다. 선교사의 딸로 태어나 중국에서 오랫동안 살았던 그녀는 서구사회와 중국의 차이를 확연히 느끼고 비교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녀는 특히 중국 여성들의 강인함에 대해 여러 번 언급하였다. 남성을 중시하는 유교사회에서 되는대로 자란 여성들이 오히려 곱게 자란 남성들보다 지혜롭다고 느꼈다. 여성들의 힘이 의외로 큰 중국에서는 여자들이 가정에서도 큰 목소리를 낼 때가 있다. 여성들이 사장인 은행에 대한 평판이 좋았던 중국에 비해 여성이 오히려 여성 의사를 거부하는 일까지 있는 것을 보고 그녀는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펄 벅은 여성들의 힘이 커져 간다고 여성들이 남성화해야 한다는 말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여성으로서의 부드러움과 친절함이 오히려 더 큰 힘을 발휘할 수도 있으며 남성과 여성이 서로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서로에게 가장 도움이 된다고 한다. 이번에 강의를 듣다가 그녀의 인생에 매력을 느끼고 책을 여러 권 구입했다. 중국을 비롯해 우리나라에 대해서도 서구에 잘 알렸던 그녀에게 새삼 감사하기도 하고, 작품 세계가 궁금하기도 했다. 소설도 읽어보고 싶다.
- 중국에서 결혼은 의무적으로 행해졌고, 결혼을 의무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상 숭배를 장려했다. 죽음으로 인해 소멸될 것을 두려워하는 인간의 운명을 상기시키면서 자녀를 그의 분신으로 생각하도록 한 것이었다. 비록 육체는 죽어 없어지더라도 자녀들이 대를 이어 계속 살아간다면 자신이 완전히 죽는 것은 아니라는 믿음에서 비롯된 생각이었다. 그러기 위해 남성은 결혼을 해야 했고, 자녀는 많을수록 좋다고 여기게 되었다. (40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