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마당 있는 작은 집에 산다 - 땅콩집 건축가 이현욱의 행복한 집이야기
이현욱 지음 / 카멜레온북스 / 2013년 9월
평점 :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687700884
아파트가 우후죽순처럼 들어선
요즘,
다시
주택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마당이
있는 집이면 더 말할 나위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단독주택은 난방비가 많이 들고,
보안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할 것 같은 선입견이 있습니다.
이
책을 쓴 저자는 난방비가 적게 들도록 작은 집을 나무로 지었고,
비싼
보안 시설을 철거하고 마당을 개방하여 이웃과 친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집은
작지만 마당에서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고,
아이들만을
위한 나무 집도 지었습니다.
텃밭에서는
채소가 자라고,
주말마다
바비큐 파티를 마당에서 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에서
평범하게 사는 사람들에게는 어쩌면 꿈에나 그릴 만한 일입니다.
막연히
집을 짓는데 비용이 많이 들 거라고 생각했는데 저자는 친구와 함께 하나의 땅에 땅콩집을 지어 생각보다 저렴하게 집을
지었습니다.
40일
만에 완성된 나무 집은 생각보다 너무 훌륭합니다. 다락방에서
아이들만의 꿈을 꾸며 뚫린 천장의 창으로 하늘을 바라볼 수 있다니 생각만 해도 기분이 좋아집니다.
저자는 사실 건축 설계업에 종사하고 있기에 집 짓는 일이 어렵지 않았을지 모릅니다.
보통
사람들은 생각하기도 쉽지 않은 일입니다.
전문가에게
비싼 돈을 지불하고 설계를 하고,
허가를
받더라도 자재를 결정하고,
각
실별 용도를 결정하는 것은 입주자가 할 일이니 신경 쓸 일이 한두 가지가 아닙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당이 있는 집을 짓고자
한다면 불가능한 일은 아닙니다.
집을
짓는 일이 먼발치에 있는 일이었는데 이 책을 읽고 조금 가까이 다가온 느낌입니다.
소박하게 아이들을 키우며 살고 있는 저자의 삶이 새삼 부럽습니다.
잔손
가는 일이 많을 것 같긴 하지만 언젠가는 꼭 마당이 있는 집에서 살고 싶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420/pimg_7627811031405052.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420/pimg_7627811031405053.jpg)
- 집이란 주거로서 삶의 기초이며 인생의 시작이다. 아파트의 특징인 같은 모양의 집, 같은 놀이터, 같은 학교, 같은 학원에 다니는 아이가 마당 있는 단독주택에서 자라온 아이보다 체력이나 창의력이나 정서면에서 뛰어날 수 있을까? 과연 이런 아파트가 추억의 집이 될 수 있을지는 어른들이 선택할 몫이다. 과연 아파트라는 건축물이 아이가 느끼는 추억, 그리고 ‘내가 자란 동네’라는 아련한 정서의 대상이 될 수 있을까? (86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