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불장군 상대하기 - 집과 직장에 꼭 있는
가타다 다마미 지음, 황선종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자신에 대한 사랑이 강한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과거 자신감 없어 하던 사람들이 많았던 것에 비하면 저마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다는 건 좋은 현상입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자기애가 강해져 자신만이 최고이고 다른 사람은 무시해도 된다는 식의 생각을 지닌다면 그 사람은 독불장군이 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중요하고, 소중한 만큼 다른 사람도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이 책은 독불장군은 어떤 스타일이며, 어떻게 해서 만들어졌는지 알려줍니다. 그런 사람들에도 여러 유형이 있습니다. 자신의 의견과 다를 때 삐져서 말을 하지 않는 사람도 있는 반면 자신의 생각만 쉴 새 없이 말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다른 사람 앞에서 대놓고 무시하는 말이나 행동으로 무안을 주기도 합니다. 그런 사람들을 어떻게 대처하는 게 현명한 처사일까요? 이 책에서는 먼저 끊임없이 말하는 사람에게 기다리고, 다음으로 몸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게 안 되면 말로 확실하게 이야기하라고 합니다. 말하기는 쉽지만 실천하긴 어렵습니다. 삐지는 사람에게는 침묵한다고 해서 그 사람의 의사가 관철되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라고 합니다.

 

  상대방을 바꾸는 건 어쩌면 불가능에 가까울 수도 있습니다. 어느 때는 그 사람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바꾸는 것이 최선책일 때도 있습니다. 사춘기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은 아마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이를 바꾸려고 하기 보다는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아이가 바르게 자라는 건 아닐 것입니다. 받아주되 옳고 그름은 단호하게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도 그것입니다. 바뀌든 바뀌지 않든 그 사람에게 이야기는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도 바뀌지 않는다면 그 사람에게 거는 기대를 스스로 내려놓는 수밖에 없겠지요?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혹시 독불장군이 아닐까 하고 돌아보았습니다. 어쩌면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나에게 그런 모습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자신을 돌아보는 개인이 많아진다면 이 사회의 독불장군들이 줄어들겠지요? 정치하시는 분들이나 회사의 많은 사람들을 책임지는 CEO는 물론이고,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나 부서 책임자까지도 다른 사람들을 향해 귀를 열어 두어야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행복해지려면 말이죠.

 

- 대체 왜 ‘셀카’가 이렇게까지 유행하게 된 걸까? 바로 인정받으려는 욕구와 자기과시욕을 충족하기 위해서다. 대중에게 주목받기 위해 스타나 프로스포츠 선수, 심지어 정치가까지 셀카 사진을 SNS에 올리고 있다. (57쪽)



- 일본 학교는 동조 압력(직장 등 어느 특정의 또래 집단에서 의사 결정을 실시할 때 소수 의견을 가진 사람에게 암묵적으로 다수 의견에 동조하기를 강제하는 것)이 상당히 강하다. 다른 학생과 조금 다르게 말하거나 다르게 행동하면 ‘잘난 척한다’라는 딱지가 붙게 되고 교사에게 미운털이 박힐 수가 있다. 이런 색다른 학생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몰라 당혹스러워하는 교사가 많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지만, 여하튼 ‘개성 중시 교육’을 내세운 지 오래됐음에도 색다른 의견이나 학생을 받아들이지 않는 풍조가 학교 내에서는 여전히 강하다. (7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