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란 무엇인가 1 - 소설가들의 소설가를 인터뷰하다 파리 리뷰 인터뷰 1
파리 리뷰 지음, 권승혁.김진아 옮김 / 다른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625000038

 

  소설가들이 자신의 책과 습관에 대해 들려주는 이야기는 언제 들어도 재미가 있습니다. 이 책은 소설가들이 유명 소설가들을 찾아가 인터뷰한 내용을 모아 담고 있습니다. 움베르토 에코, 무라카미 하루키, 폴 오스터, 이언 매큐언, 밀란 쿤데라, 헤밍웨이, 포크너, 이름만 대도 알 만한 작가들이 자신의 작품과 글쓰는 습관, 그리고 창작의 노하우를 알려주는 내용이 너무 유익했습니다. 이들 대부분의 작품들을 모두 읽은 것이 아니라 생소한 제목의 책에 대한 내용은 조금 어렵기도 했지만 아는 책이 나올 때는 이렇게 썼구나하며 구미가 더욱 당겼습니다.

  

   작가들은 그들만의 독특한 글쓰기 방법이 있습니다. 만년필로 초고를 쓰는 사람도 있고, 타자기로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문명의 이기인 컴퓨터로 여러 번 자유롭게 고쳐 쓰는 작가도 있습니다. 시간을 정해 두고 일정하게 쓴다는 사람도 있고, 마음 내킬 때 문을 걸어 잠그고 몇 날 며칠을 고뇌하며 작업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책을 쓰는 동안 내리 책을 읽는 작가도 있습니다. 이들의 방법을 모두 받아들이는 건 문제가 있겠지요. 저마다 나름의 방법이 있으니까요. 그 중에 만년필로 글을 쓴 다음에 타자기나 워드로 옮겨 친다는 내용이 눈에 쏙 들어왔습니다. 손으로 쓰면 속도는 느리지만 더 많은 생각을 하며 쓸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식탁이나 도서관 칸막이, 심지어 차 안에서까지 작업을 하다가 자신만의 호사스런 방을 가진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레이먼드 카버의 말이 인상적입니다. 나도 얼마 전 안방을 개조해 한 평 짜리 작은 서재를 만들었는데 이곳에서 글을 쓰면 잘 써질 것 같습니다.

 

  이런 책을 읽으면 글을 더 잘 쓸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대가들에게 개인 레슨을 받은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이 책을 읽고 내키는 대로 짧은 글을 하나 써서 아이들에게 읽어 주었습니다. 자신들이 들어간 이야기를 읽으며 연신 웃어대는 걸 보며 흐뭇하기도 했습니다. 나도 언젠가는 작가가 되어 예비 작가들에게 내가 글 쓰는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어집니다. 그러기 위해서라도 더 열심히 작업해야겠습니다.

 

  이 책 리뷰를 올리다가 책이 시리즈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2권과 3권도 있었습니다. 조만간 다음 책도 읽어보고 싶어집니다.

 

- 제가 사유하는 방식에서는 책 한 권을 여러 장으로 나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소설을 쓸 때 줄거리 전체를 미리 생각하고 있다면 – 대개는 미리 알고 있지요. - 전체 줄거리를 각 장으로 나누어서 각각의 장에서 일어나게 하고 싶은 세부 사항들을 생각하지요. 그렇지만 반드시 1장에서 시작해서 순서대로 써 나가지는 않습니다. 그러면 글이 막히게 되더라도 별로 심각한 문제가 되지 않지요. 생각이 가는 대로 계속 쓰면 되니까요. 첫 장부터 다섯 번째 장까지 쓰고 나서 재미가 없으면 15장으로 넘어가서 거기서부터 계속 쓸 수도 있답니다. - 오르한 파묵 (75쪽)



- 세월이 너무 빨리 바뀌니 오늘날의 책은 100년 후에는 아마 잊힐 겁니다. 극소수만 읽힐 거예요. 200년 후에는 요즘 쓰인 책 중 다섯 권 정도만 살아남겠지요. 내가 그 다섯 권 중에 들어갈 책을 쓰고 있다고 확신하는가? 하지만 그 점이 글쓰기의 의미인가? 200년 후에 읽힐지에 대해서 내가 걱정해야 하는가? 삶에 대해 더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이 아닐까? 내 책이 미래에 읽힐 거라는 위안이 필요한가? 이런 생각을 늘 하면서 계소 끌을 써나가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