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가 노는 법 - 동화를 쓰려는 분들께
위기철 지음 / 창비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618543244

 

  도서관에 갔다가 얼마 전 재미있게 읽었던 <<아홉 살 인생>>의 작가 위기철님의 동화쓰기 책을 발견했다. 아동문학에도 관심이 있던 터라 반가운 마음으로 빌려와 읽었다. 딱딱한 문학입문서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인터넷 용어와 입말이 들어 있는 재치 있는 책이었다. 가벼운 마음으로 읽는데도 찔림과 교훈이 느껴졌다.

 

  작가는 초보 작가들에게 경험을 바탕으로 글 쓰는 방법을 차근차근 알려준다. 쓰기 전에 미리 분량을 생각해야 고루 재미있는 글을 쓸 수 있고, 마지막 부분을 염두에 두고 써야 배가 산으로 가지 않는다고 했다. 주인공은 조금 밋밋하게, 다른 등장인물을 오히려 독특하게 하는 것이 좋고, 플롯은 사실상 영화에서처럼 중요한 것은 아니라고 했다. 그리고 작가가 인물의 감정을 노골적으로 쓰기보다 주변 분위기를 통해 어렴풋이 들려주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자신이 꿈꾸었으나 이루지 못했다 말하는 겸손한 태도 때문인지 읽는 동안 거들먹거리는 유명 작가의 오만함을 느낄 수 없어 좋았다. 잠깐 쓰고 누워 쉬다 또 쓴다는 자신을 본받지 말고 글을 쓰는 시간을 정해두고 쓰는 서양 작가들을 배우라고 하지만 나도 왠지 저자의 방식대로 하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방구석에서만 쓰지 말고 밖에 나가 경험을 많이 쌓으라는 조언이 가슴에 와 닿는다. 가장 인상적인 건 셀 수 없는 퇴고의 반복에 관한 내용인데 인쇄해서 소리 내어 읽어보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의 글을 잡으면 물 흐르듯 쉼 없이 읽게 되나보다

 

- 존이 학교 가는 길에 제인을 만났든 악어를 만났든, 또는 악어가 학교 가는 길에 존을 만났든, 여러분은 그냥 선언만 하면 됩니다. "자, 이게 현실이야. 그러니 이야기를 듣고 싶으면 잔말 말고 들어!" 얼마든지 도도하게 굴 수 있는 것이지요. 게다가 독자들은 비굴한 작가보다 자신을 확확 끌고 갈 카리스마 있는 작가를 더 좋아하거든요. (88쪽)



- 플롯은 연극, 영화, 드라마처럼 관객 눈앞에서 펼쳐지는 이야기에서는 필수 과목일 수도 있겠지만, 문학처럼 독자 머릿속에서 펼쳐지는 이야기에서는 그저 선택과목일 뿐입니다. 그러니 동화를 쓰겠다는 분들이 괜히 작품에다 플롯 이론을 적용하려 애써 봐야 본전도 못 챙기기 쉽습니다. 영화와 동화는 경기 종목이 다르거든요. (9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