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실 언니 - 개정판
권정생 지음, 이철수 그림 / 창비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611545525

 

 
 
 
   한국전쟁 당시 영상들을 보면 짧은 단발머리를 한 채 철퍼덕 앉아 망연자실 울고 있는 여자아이의 모습이 등장합니다. 누군가의 어머니, 또는 할머니로 자랐을 그 아이의 사진을 보면 함께 울고 싶어집니다. 이 책의 주인공 몽실이도 어린 나이에 너무나 큰 상처들을 경험합니다. 지금 태어난 걸 감사하기에는 마음 한구석이 너무나 저려 오는 당시에 살았던 수많은 몽실이들을 생각하며 이 책을 울컥한 마음으로 읽었습니다.

 

  가진 재산을 모두 사회에 헌납하고 가진 것 없이 최후를 맞으신 고 권정생 선생님의 마음이 고스란히 묻어 있는 이 책을 읽으며 어려움을 당하고도 오뚜기처럼 일어나던 우리의 어머니, 할머니들을 떠올렸습니다. 자신을 괴롭히던 사람들마저 사랑할 줄 알았던 성자 몽실이는 아직도 우리들의 마음에 남아 울리는 감동을 줍니다.

 

  자신은 먹지 않고 동생을 먹이고, 자신을 욕하는 사람들에게 대꾸하기 보다는 그냥 피하는 어떻게 보면 너무 미련하기까지 한 그녀의 행동을 보며 눈시울을 붉히는 건 당시 그런 삶을 살았던 우리 할머니들이 떠올라 그런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우리나라 역사 중 가장 암울하고 힘든 시기 중 하나인 당시를 살았던 그들을 기억하고 그분들이 이루어 놓은 풍성함에 감사할 줄 알아야겠습니다.

 

  몽실이 만났던 인민군과 국군은 모두 우리나라 사람입니다. 물론 그들 중 생각이 다르다는 것만으로 서로를 죽이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 따스한 마음을 지닌 같은 민족입니다. 전혀 소통하지 못하고 있는 남북한이 점차 교류하다 하나가 되는 날이 올 거라고 믿습니다. 물론 우리만의 노력으로는 가능하지 않겠지요? 북한에서도 고집을 버리고 더 늦기 전에 오픈마인드를 갖게 되기를 바랍니다. 다시는 몽실언니처럼 고생만 하며 평생을 사는 사람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해방이 되고부터 오 년이란 세월이 흘렀습니다만, 우리는 아직도 우리의 갈 길을 바로 알지 못하여 나라가 두 동강으로 갈라져서 서로가 네가 옳으냐 내가 옳으냐 싸움만 하고 있습니다. 누가 옳은지 우리는 바른길을 알아야 합니다. 항간에 떠도는 말로는 미국을 믿지 마라, 소련에 속지 마라, 일본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과연 그렇습니다. 우리는 어떤 큰 힘이든지 남의 힘을 믿어서는 안 됩니다. 소련의 힘을 의지하면 소련의 식민지가 되고, 미국을 의지하면 곧 미국의 식민지가 되고 맙니다. 일제 삼십오 년은 어리석은 우리 어른들이 일본의 힘을 의지하려다가 결국 나라를 송두리째 일본에 맡겨 버린 결과가 되었지요. 을사보호조약이란 게 바로 그런 못난 약속이었습니다. (67-68쪽)



- 난남이는 몽실의 튼튼한 어깨에 얼굴을 기대었다. 언니이면서 어머니 같은 몽실이었다. 갓난아기 때부터 암죽을 끓여 먹이며 키워 준 언니였다. 깡통으로 구걸해 온 밥을 먹지 않고 먹이며 키워 준 언니였다. 깡통으로 구걸해 온 밥을 먹지 않고 먹여 준 언니, 그 언니는 세상에서 둘도 없는 난남의 핏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