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년 동안의 고독 - 1982년 노벨문학상 수상작 ㅣ 문학사상 세계문학 6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안정효 옮김, 김욱동 해설 / 문학사상사 / 2005년 7월
평점 :
제목이 참 흥미로운 책이다. 고독을 몇 시간도 아니고, 몇 일도 아닌 자그마치 100년 동안 겪었다니 말이다. 이 책은 양피지에 예언된 그대로 아우렐리우스 가족이 겪는 100년 역사의 기록이자 시대와 국가를 아우르는 역사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입장의 차이에 따라 같은 집안에서 나고 자랐는데도 다른 길을 걸어간다. 그 속에는 약간의 행복도, 불행도 있지만 결국 왕성했던 집안은 예언대로 씁쓸한 결말을 맞게 된다.
왜 이런 내용의 책을 썼을지 궁금한 마음이 들었다. 이 책을 읽는데 자그마치 한 달이 걸렸기 때문이다. 아우렐리아노라는 대를 이어 내려오는 이름 안에 갇혀 결국에는 틀을 벗어나지 못했던 가족구성원에게는 황당하리만치 신기한 일들이 계속 일어난다. 풍기는 향기 때문에 남자들이 넋을 잃고 나락에 빠지게 만드는 미녀 레메디오스는 결국 하늘을 날아 사라지기도 하고, 레베카는 흙이나 벽을 긁어먹기도 한다. 심지어 수의를 다 만든 아마란타는 자신이 죽을 때를 알고 죽은 사람들에게 줄 이웃들의 편지를 모아들고 최후를 맞기도 한다.
평화롭던 마을에 문명의 이기가 들어오면서 점점 타락되어 가고 황폐화되어 간다는 의미 있는 메시지를 준다는 이 책을 읽으며 자꾸 <<돈키호테>>가 떠오르는 이유는 아마도 있을 수 없을 법한 심한 과장을 실제처럼 꾸며내는 능력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마술적 리얼리즘 소설이라 불리나보다. 오랜 세월 동안 외세의 지배와 정치적 혼란에 시달렸던 남미의 역사를 반영한 걸작이라고 한다. 기회가 된다면 남미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고 싶어진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123/pimg_7627811031348829.jpg)
이 책은 인문학 모임 이번 달 도서다. 내일이면 회원들과 이 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게 된다. 다른 분들은 어떤 생각을 하며 읽으셨는지 궁금하다. 함께 읽고 나눌 수 있는 분들이 계신다는 게 행운이다.
- 말없이 조용한 나날을 보내며, 집안에 넘쳐흐르는 새로운 생명력에는 관심도 보이지 않고 아우렐리아노 부엔디아 대령은 노년기를 훌륭하게 보내는 비결이란 고독과 영광스러운 조약을 체결하는 길뿐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는 아침 5시에 얕은 잡에서 깨어나, 부엌으로 가서는 언제나 변함없는 씁쓰레한 커피를 한잔 마시고 하루 종일 작업실에 들어앉아서 일을 하고, 오후 4시간 되면 의자를 끌고 테라스로 나가서는, 불타오르듯 강렬한 장미숲과 한낮의 밝은 태양과 끓는 주전자처럼 씩씩 소리를 내며 고집스레 우울을 짓씹는 아마란타는 의식하지도 않고, 어둠이 내리도록 그 자리에 앉아서 모기들의 성화에 못 이겨 쫒겨 들어갈 때까지 줄곧 앉아 있었다. (224-225쪽)
- "페르난다에게 작별인사를 하려무나." 우르슬라가 아마란타에게 빌었다. "한순간의 화해란 평생의 우정보다 훨씬 값진 것이란다." "이제는 다 쓸데없는 일이죠." 아마란타가 대답했다. (315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