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정주 시집 ㅣ 범우문고 46
서정주 지음 / 범우사 / 2002년 5월
평점 :
품절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542212584
문창과 강의를 들으면서 서정주님의 시집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막연히 가지고 있었는데 학교 도서관에 책이 있어 빌려왔다. 생각해 보니 교사용 도서 신청할 때 내가 했었던 것 같다. 내 책이 아니어도 아무도 읽지 않은 새 책을 처음 빌릴 때는 기분이 좋다. 손에 쏙 들어오는 범우문고에서 3판 5쇄로 발행한 것이라니 정말 오랫동안 사랑받았나보다.
하지만 기대와는 달리 어려웠다. 익숙한 ‘푸르른 날’이나 ‘국화 옆에서’는 학창시절 외고 다니던 거라 반가웠는데 다른 시들은 옛 우리말이나 한자들이 많이 섞여 있어 정확한 뜻을 알지 못하는 부분이 많았다.그 옛날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당선되었다가 나중에 동아일보 사회부장과 문화부장으로 근무하기도 했던 그는 아마도 그 시대를 대변하는 ‘큰 목소리’였을 것이다. 그의 시들를 통해 당시 사람들이 느끼고 노래하던 것들을 조금이나마 맛볼 수 있었다.
가장 암울했던 시절을 지냈던 때문일까 해석이 어려운 그의 시들이지만 애달픔이 스며있음은 알겠다. 시는 쓸수록 어렵고, 배울수록 깊이가 느껴진다. 차라리 아이들 같은 마음으로 동시를 쓰고 말지. ‘이 시는 이런 뜻을 내포하고, 저 시는 저걸 노래하고…….’ 그냥 마음으로 느끼면 되지 않을까? 시를 너무 분석하는 건 오히려 시인을 괴롭히는 일일지도 모른다. 서정주님의 시도 그냥 느끼고 싶었다. 뜯어 해석하지 않고 내 마음에 물드는 대로 두고 싶었다. 그렇게 몇 날 며칠을 계속 가방에 모시고 다녔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8/pimg_7627811031312065.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118/pimg_7627811031312066.jpg)
- 푸르른 날 (37쪽)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 하자 저기 저기 저, 가을 꽃 자리 초록이 지처 단풍 드는데 눈이 나리면 어이 하리야 봄이 또오면 어이 하리야 내가 죽고서 네가 산다면? 네가 죽고서 내가 산다면!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 하자 - 고요 (80-81쪽) 이 고요 속에 눈물만 가지고 앉았던 이는 이 고요 다 보지 못하였네. 이 고요 속에 이슥한 삼경의 시름 지니고 누었던 이도 이 고요 다 보지는 못하였네. 눈물, 이슥한 삼경의 시름, 그것들은 고요의 그늘에 깔리는 한낱 혼곤한 꿈일 뿐, 이 꿈에서 아조 깨어난 이가 비로소 만길 물 깊이의 벼락의 향기의 꽃새벽의 옹달샘 속 금동아줄을 타고 올라오면서 임 마중 가는 만세 만세를 침묵으로 부르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