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다 보니 남미였어 - 생에 단 한 번일지 모를 나의 남아메리카
김동우 지음 / 지식공간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516754953


  태어난 곳에서 죽을 때까지 사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아마도 인구의10%도 되지 않을 것이다어떤 이는 셀 수 없이 이사를 다니는 동안 많은 이웃을 만나고 헤어진다우리의 인생 자체가 여행인 이유 중 하나가 아닐까그럼에도 우리는 끊임없이 새로운 곳에 가고자 하는 열망을 발견한다요즘 세태인 노마디즘은 아마 그런 욕구에서 나왔으리라.

 

  한 곳에서 정착해 사는 일은 요즘 세상에 쉽지 않다학교를 옮기든 직장을 옮기든 우리는 이동을 할 수밖에 없다과거, 같은 땅에서 대대로 농사를 지어오던 시절과는 완전히 다른 세상이다시대가 변하면서 여행의 개념도 차츰 변해가는 것 같다짬을 내어 몇 박 몇 일 다녀오던 여행은 이제 관광이라는 말로 바뀌었다진짜 여행을 하는 사람들이 늘었기 때문이리라.

 

  이 책의 저자도 약 300일을 집을 떠나 떠돌아다녔다짧지 않은 그 시간 동안 세계를 일주하며 많은 것을 보고먹고느끼고겪었을 것이다. 우리는 그의 수많은 경험을 다 알 수는 없다. 이 책을 통해 순간순간 닥쳤던 그의 상황을 짐작해 볼 뿐이다등에 땀이 날 정도로 긴장했던 일들낯선 땅에서의 황당한 이발 사건인간의 한계에 도전하는 트래킹 등 저자는 우리가 평소 생각하는 여행과는 조금 다른 경험을 많이 했다패키지 관광으로는 만날 수 없는 살아있는 여행인 셈이다.

 

  평일 오전 혼자 나른한 시간을 보낸다는 건 어떤 기분일까자유를 느낄까아니면 불안감이 엄습해 올까직장에서의 승진도통장 잔액도 그의 욕구를 채우기에는 부족했다그는 떠나야 했다가난도사회적 고립도그에겐 걸림돌이 되지 않았다. 쉬운 여정은 아니었을 것이다하지만 소중한 그의 경험은 우리에게 대리만족을 줄 뿐 아니라 누군가의 꿈이 되기도 한다.

 

  얼마 전에 읽은 남미 여행 책과는 상당히 다른 느낌이다맞추픽추에 대한 두 사람의 느낌 차이가 전체적인 분위기를 대변하는 것 같다가슴 설레는 마음으로 우여곡절 끝에 찾아가는 자체가 하나의 여행이었던 지난 번 책과는 달리 사진으로 본 것 이상이 아니었다니. 이 여행객의 솔직한 말은 사실 충격이기도 했다우리가 여행을 가는 이유는 단지 수없이 보았던 사진의 모습을 보기 위함은 아닐 것이다그 장소가 자신에게 의미하는 바에 따라 느낌은 완전히 다를 수 있다.

 

  남미 책을 읽다 보면 남미에 가고 싶어야 하는데 이상하게 가기가 두렵기도 하다여행객들을 노리고 있다는 사람들에 대한 경고 때문이리라.나이가 들수록 배낭여행이 어렵다오성급 호텔은 아니어도 간편한 조식이 있는 호텔이 좋고사 먹는 기내식보다는 푸짐한 무료 기내식이 더 좋다너무 힘든 사람들을 보며 마음 아프기보다는 감탄할 만한 장면들을 보고 싶다나는 아직 여행 초보자인 것이다.

 

  나는 인생 자체가 여행이라는 말이 참 마음에 든다꼭 멀리 가지 않아도내가 있는 곳에서 늘 보던 것을 새로운 눈으로 본다는 책 말미의 이지상 여행가의 인터뷰 내용에 공감이 간다다람쥐 쳇바퀴 돌 듯 똑같이 반복되는 일상이 여행이 되도록 새로운 일을 시도해 보고색다른 경험도 해 보고 싶다매일이 작은 여행인 인생은 지루하지 않을 것이다.



- 길거리에서 가이드북을 꺼내 눈알을 굴리는 순간 표적이 되기 쉬웠고, 초보 여행자 티를 내고 싶지도 않았다. 낯선 곳에서 당하지 않으려면 하루 계획 정도는 확실히 세우고 끝없이 움직이는 수밖에 없었다. (100쪽)

- 숙소에는 또 다른 일본인 여행자 이지상도 있었다. 그는 아케미상과 비슷한 나이였는데 직업은 화가였다. 파타고니아가 좋아 벌써 몇 번째 이곳을 방문했는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지상은 파타고니아를 캔버스에 담다 여비가 떨어지면 일본에 돌아가 돈을 벌어 여행을 이어 나간다고 했는데, 파타고니아가 그림을 그리고 싶게 만든다고 했다. (198-199쪽)

- 선택에서 자유로울 수 잇는 사람은 없다. 삶의 본질 중 하나는 선택이다. 삶은 매 순간 선택을 강요한다. 그리고 결정이란 이름으로 어쩔 수 없이 한쪽에 손을 들어줘야 한다. 이분법적 사고의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결정의 대부분은 양자택일의 모습이었다. (36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