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로버트 제임스 월러 지음, 공경희 옮김 / 시공사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402716767


  중학교인가 고등학교때 학교 선생님께 추천받아 이 책을 읽었던 기억이 있었다. 영화도 봤던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당시 어렸던 나는 나이든 사람들의 사랑 이야기에 별로 관심이 없었나보다. 잠깐의 사랑, 그리고 오랜 기다림이라는 슬픈 사랑의 구조가 답답했나보다.

 

  시간이 흐르는 동안 이 책의 제목이 마음속에 남아 있었나보다. 헌책방을 다니다 이 책을 보고 반가워 사 오게 되었다. 그리고 또 잊고 지냈다. 어느 날 문득 책장을 살피다 다시 만났다. 길지 않은 글이었지만 다시 읽은 이 책은 내 마음을 흔들었다. 안타까움에 한숨을 쉬기도 했다.

 

  외로운 카우보이(자유분방한 자신을 그렇게 불렀다.) 로버트 킨케이드와 작은 시골 마을에서 농사짓던 프란체스카는 우연히 만나 영혼을 나눌 사람임을 알아보게 된다. 이혼한 떠돌이 남자와 유부녀. 이들의 만남과 도를 넘는 관계는 어쩌면 뻔 한 불륜 이야기로 끝날 수도 있었다. 하지만 프란체스카는 사랑보다는 책임감을 택하게 되고, 이들의 사랑은 오랜 기다림을 남긴다.

 

  열정이 없이 책임감만 남은 결혼생활. 이건 비단 한두 명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수많은 주부들이 마음에 꿈꾸는 사랑에 대한 로망을 이 책을 통해 대리만족한 건 아닐까? 평생 한 번이라도 가슴 뜨거운 사랑을 한다면 남은 인생 동안 그 사람을 추억하며 살아갈 수 있을지 모른다. 물론 그 사랑이 마지막 사랑이 되어 배우자로 남는 것이 가장 행복한 일이겠지만 말이다.

 

  같은 책을 나이대별로 읽을 때 그 느낌이 다르다는 이야기가 생각난다. 20년 후에 다시 읽어야 할 것 같다.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았던 기억을 자녀들에게 드러냈던 노년의 프란체스카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말이다.


- 요리가 되는 동안 프란체스카는 다시 그의 앞쪽에 마주앉았다. 부엌에 정갈한 다정함이 내려앉았다. 어쩌면 그런 다정한 느낌은 함께 요리를 하는 데서 왔는지도 몰랐다. 모르는 사람을 위해 저녁 식사를 준비하고, 그와 함께 순무를 다지고, 그러다 보니 낯선 느낌이 스러져버렸다. 낯선 느낌이 없어지니, 친밀감이 들어설 공간이 생겼다. … 남자들 주변에 있을 때면 그녀는 언제나 그들과 비교해 자기가 우아하게 느껴졌다. 그러나 로버트 킨케이드와 있을 때는 그렇지 않았다. (72-73쪽)

- 두 사람 다 담배를 피우며 아무 말 없이 브랜디를 마시고, 커피를 마셨다. 들판에서 꿩 울음 소리가 들려왔다. 개가 마당에서 두 번 짖었다. 모기떼가 식탁 근처의 방충망에 달려들었고, 나방 한 마리가 본능적으로 싱크대의 전등에 현혹되었다. (8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