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영화로 재미있게 봤던 ‘허삼관 매혈기’를 읽어 보려고 도서관에 검색을 해 보니 예약이 이미 되어 있어 빌릴 수가 없었다. 학교 선생님들과 이야기 도중에 이 책을 가지신 분이 계셔서 그분께 빌려 읽게 되었다. 책을 빌려 오는 길에 어찌나 설레는지 모른다. 영화도 따스한 아버지의 정을 느끼게 하면서도 유머러스한 장면들이 많아 정말 재미있게 봤기 때문이다. 첫 부분은 비슷했다. 나오는 인물들도 거의 비슷하다. 하지만 다른 점들도 많이 있었다.

 

  영화 배우들(특히 아이들)의 특성상 짧은 시기를 보여준 영화에 비해 책은 허삼관이 젊은 시절부터 60 노인이 될 때까지 아이들이 자라 가는 모습을 지켜보며 혼신을 다해 노력하는 모습이 다 나온다. 아이들이 자라는 도중 문화혁명의 시기를 맞으며 거리에서 비판을 당하기 위해 하루 종일 서 있는 허옥란의 모습이나 아이들이 농촌 마을로 일 하러 가는 장면 등은 영화에서 그려지지 않았다. 영화가 조금 가벼운 웃음과 감동을 주었다면 책은 조금 더 정치적 비판이 들어 있는 셈이다.

 

이 책의 대사들이 재미있는데 그들의 대사를 읽고 있으면 코믹 영화를 보고 있는 느낌이 들 정도로 재치 넘친다. 작가의 위대한 면이 거기에서도 드러난다. 그런가 하면 장가도 못 가본 아들을 위해 피를 팔다 죽어도 원이 없다는 눈물을 쏙 빼 놓을 정도로 감동적인 허삼관의 말이나 아픈 형을 업고 뛰어 자신의 솜 옷을 벗어 주고 감기에 걸린 이락이의 행동도 눈물겹다. 일락이의 출생에 관한 비밀로 티격태격 하던 허삼관과 허옥란은 나이 들수록 서로를 챙기는 따스한 정도 감동적이었다.

 

  지금은 중국 가정에 한 아이밖에 허용치 않고 있지만 과거 여러 명의 자녀를 낳고 키우던 시절을 떠올리며 중국 독자들은 과거를 그리워했을지 모르겠다. 가진 것 없는 허삼관이 피를 팔아 가면서까지 지키고자 했던 그의 가족들은 그에게 가장 큰 기쁨이자 행복이었을 것이다. 오늘을 사는 우리네 아버지들(파김치가 되도록 회사에 시달리면서도 가족을 위해 주말을 헌신하는)도 다르지 않을 거라 믿는다.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327092299

- 모든 독자는 문학작품에서 자기가 일상에서 느껴온 것들을 찾고 싶어 한다. 작가나 다른 누군가가 아니라 바로 자기가 느끼는 것 말이다. 문학의 신비로운 힘은 여기서 나온다. 모든 작품은 누군가가 읽기 전까지는 단지 하나의 작품일 뿐이지만, 천 명이 읽으면 천 개의 작품이 된다. 만 명이 읽으면 만 개의 작품이 되고, 백만 명이 읽으면 백만 개 혹은 그 이상의 작품이 된다. -위화 (6쪽)

- "오늘부터 삼락이, 이락이, 일락이 모두 죽 먹은 다음에는 침대에 누워 있어. 꼼짝하지 말고. 움직이면 배가 고파지니까. 너희들 모두 누워 있으라구. 나하고 엄마도 침대에 누워 있을 테니까. 했던 말 또 하게 하지 마라. 배고파서 힘이 하나도 없으니까. 방금 마신 죽이 벌써 다 내려갔네." (158쪽)

- 세월이 좀 흐른 뒤 모 주석께서 천안문 성루에 모습을 보이셨는데, 오른손을 들어 서쪽을 향해 흔들며 수천 수백만의 학생에게 말씀하셨다. "지식 청년들은 농촌으로 가서 빈농과 하층 중농에게 재교육을 받아야 한다." 그래서 일락이는 요와 이불을 말아 등에 지고, 손에는 보온병과 세숫대야를 들고 붉은 깃발이 이끄는 대열을 따라나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