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의 일생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19
기 드 모파상 지음, 이동렬 옮김 / 민음사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옮긴이의 말 중에 '어떤 일생'이라는 뜻의 제목을 갖고 있었던 원작의 제목이 일본을 거쳐 오는 동안 '여자의 일생'으로 바뀌었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사실 모든 여자들이 이 책 속의 잔느처럼 불행한 일생을 사는 것은 아니므로 '어떤 일생'이라고 하는 것이 맞는 것 같다. 하지만 한 여자가 일생 동안 살면서 성장하고, 결혼하고, 출산하고, 부모님을 여의고, 자신 또한 늙어가는 모습을 책 속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는 의미에서 아주 잘못된 제목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몇 년 전인가 증조할머니로부터 시작된 우리 집 여자들의 계보를 생각하며 여자들의 일생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다. 그렇게 다정하던 분들이 떠나시는 걸 보면서 세월의 무상함과 함께 이제 곧 내 차례도 올 것이라는 막연한 불안감이 엄습했었다. 이 책 속의 잔느도 아름다운 시절을 보내고 얼떨결에 맞은 약혼자와 결혼을 하게 된다. 밝은 미래를 꿈꾸던 잔느에게 결혼생활은 결코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남편의 외도와 외면으로 가정에서 소외당하고, 사회적으로 진출 기회가 없었던 당시의 잔느는 암울한 하루하루를 보냈을 것이다. 아들에게 온갖 정성을 다 쏟지만 아들은 모든 것을 잃게 만드는 장본인으로 자라난다.

 

  염세주의적 색채가 강한 모파상의 책을 읽으면서 남자가 여성의 심리를 어떻게 이렇게 잘 알 수 있는지 신기해했다. 그에게 문학을 가르친 이가 <<보바리 부인>>을 쓴 플로베르라는 것을 책의 말미를 읽으며 알게 되어 조금은 그럴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 책을 읽을 때도 같은 이유로 신기해했기 때문이다. 기구한 인생을 산 순수했던 잔느는 세상 물정을 너무 모르는 철부지 귀족에 불과했지만, 주인의 아들을 가져 돈을 받고 쫓겨났던 하녀 로잘리는 늙은 잔느 곁을 지키는 지혜로움과 강인함을 보여준다. 여자의 일생이 모두 비극은 아니라는 것을 대조적으로 보여준다.

 

  이 책에는 세 번의 출생 과정과 여러 번의 사망(남편, 부모님, 기르던 개, 이모)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태어남이 있으면 돌아감이 있는 것이 인생이다. 누구에게나 다가올 죽음의 문제는 종종 꺼리는 화젯거리이기도 하다. 잘 죽기 위해서는 잘 살아야 한다. 한 번 사는 인생이므로 더 소중한 삶이다. 잘못된 선택으로 평생을 후회하는 일이 없도록 신중해야겠다. 그리고 잘못된 것이 있으면 속히 바로잡는 노력도 필요할 것 같다. 내 인생을 대신 살아줄 사람은 없으니까.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302005696

- 잔느는 자기 가슴이 이 달 밝은 밤처럼 속삭임으로 가득 차서 활짝 열리는 것 같았고, 가벼운 떨림으로 그녀를 에워싸고 있는 밤 짐승들을 닮은 수많은 막연한 욕망이 갑자기 가슴에서 들끓어 오르는 것 같았다. 어떤 친화감이 그녀를 이 생생한 시와 결합해 주고 있었다. (25쪽)

- 방 하나에 모여 우글거리는 대가족의 냄새가 누옥들에서 퍼져 나왔다. (31쪽)

- 그들은 같은 계급, 같은 족벌, 동등한 혈통에 속한다는 단 한 가지 사실 덕분에, 멀리 떨어져서도 서로 친밀하게 느끼고, 거의 친구이며 인척간인 것처럼 여기는 것이다. (47쪽)

- `리종 이모`라고 발설할 때, 이 두 단어는 그 누구의 마음에도 아무런 감정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그것은 `커피포트` 또는 `설탕 그릇`이라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7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