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80
하인리히 뵐 지음, 김연수 옮김 / 민음사 / 200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벨상 수상 작가인 하인리히 뵐의 저서를 처음 접했다. 두껍지 않아 가벼운 마음으로 읽기 시작했는데 다루는 사건이 살인이어서 처음부터 마음이 무거워졌다.

 

  불우한 가정에서 태어나 악착같이 살아온 카타리나 블룸은 평범하진 않지만 나름 편안하고 인정받는 삶을 살고 있었다. 만나는 사람들의 호의도 받고 좋은 차와 거주지도 생겼다. 그러던 그녀의 눈에 띈 남자가 수배 중이었고, 그를 재워주었다는 것으로 경찰의 조사를 받은 카타리나는 언론의 무차별 공격을 받기 시작한다. 그녀의 사생활 노출은 물론 협박 전화와 거짓 기사들에 점점 멍들어 간다. 그 와중에 맞은 어머니의 죽음도 일련의 사건들과 무관하지 않다. 이쯤 되면 그 일을 자행한 신문기자가 죽이고 싶을 정도로 얄밉긴 했을 것이다. 그리고 기자를 만나 물어보고 싶었을 것이다. 왜 그렇게 자신을 파괴했는지, 근거 없는 거짓말들을 늘어놓아 주변 사람들까지 아프게 했는지 말이다. 버젓이 그녀 앞에 나타나 성추행을 서슴지 않는 기자를 가만히 둘 수는 없었을 것이다. 물론 그녀가 권총을 미리 가져온 건 잘못이다. 다른 방법도 얼마든지 있을 수 있으니까. 하지만 그녀의 심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자신이 잘못했다는 생각을 전혀 하지 않는 그 얼굴을 마주했을 때 얼마나 기가 찼을까?

 

  약자의 편에서 글을 썼던 하인리히 뵐처럼 권력이나 언론에 휘둘리지 않는 작가들이 멋지다. 이 책에 나오는 언론사의 모델이었음직한 신문사에서 책에 대한 언급을 꺼렸을 정도로 찔려 했나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이 책은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켰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연예인들도 사람인데 너무 심하게 사생활을 드러내거나 거짓 기사들을 써 당사자는 물론 주변 사람들에게까지 상처를 주기도 한다. 그것을 궁금해 하는 사람들의 호기심도 문제이긴 하지만 사람들을 현혹하기 위한 자극적 기사들의 남발도 잘못이다.

 

  카타리나의 미래가 어땠을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한다. 아마도 그녀는 복역을 끝내고 사랑했던 탈옥범과 평범한 결혼을 했을지 모른다고 작가는 10년 후 회고 글에서 이야기한다. 하지만 ‘살인자의 자녀’라는 말을 들을까 자녀는 낳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상상 속 인물이지만 그의 미래를 이야기해 보는 건 재미있는 일이다.

 

  암울하던 전후 독일, 파괴된 문학의 틈바구니 속에서 아름다운 언어로 문학을 일구어낸 작가의 노고에 찬사를 보낸다. 그리고 약자의 편에서 펜을 든 그의 용기를 본받고 싶다.

- 개념 정의를 두고 그녀와 검사들 혹은 그녀와 바이츠메네 사이에 본격적인 논쟁이 벌어졌다. (31쪽)

- 내가 기자들의 술집에 갔었던 것은 그저 그를 한 번 보기 위해서였습니다. 그 인간이 어떻게 생겼고, 행동거지는 어떠하며, 말하고 마시고 춤추는 모습은 어떤지 알고 싶었습니다. 내 삶을 파괴한 바로 그 인간 말입니다. (13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