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움받을 용기 (반양장)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 미움받을 용기 1
기시미 이치로 외 지음, 전경아 옮김, 김정운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불편함을 준다왜냐하면 지금까지 알고 믿고 있었던 자기계발서의 수많은 이론들이 송두리째 뒤집어지는 이야기들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책의 말미에 도달할 때 쯤 아들러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철학자의 주장이 터무니없이 느껴지지 않는다그와 이야기를 나눈 청년처럼 수많은 의혹과 반박하고 싶은 욕구들이 철학자의 이야기를 통해 조금씩 바뀌어 나갔기 때문이다.

 

  칭찬을 하는 것은 금물이라고 한다왜냐하면 칭찬은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조종하기 위한 수단이기 때문이라고 했다처음에는 이 말에 동의할 수가 없었다교사 입장에서 학생을 칭찬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칭찬을 하지 말라는 아들러의 말을 제대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칭찬을 통해 자신이 상대방을 통제하려고 한다면 그건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나온 것이 된다하지만 진정한 마음에서 우러난 감사는 인간관계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고 보고 있다가장 중요한 것은 상대방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가짐과 태도이다과거나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철저히 배격하는 아들러의 주장은 어떻게 보면 개인적이다 못해 이기적이라고 느껴지기도 한다하지만 과거에 얽매여 자신을 비하하거나 우월감을 가지기보다는 남들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을 위해 공헌했다는 것만으로도 자신은 충분히 행복할 수 있다고 한다.

 

  남들의 시선에 신경 쓰지 않는 것은 용기가 필요하다특히 우리나라나 일본처럼 다른 사람과 보편적으로 비슷하게 행동하고자 하는 곳에서는 더욱 그럴 것이다하지만 자기가 속한 작은 사회가 전부라는 생각을 버리게 되면 지금의 내가 받는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는 아들러의 말에 동의한다넓은 시야를 가지고 과거에 얽매이지 않으며 남들의 칭찬에 목말라 하지 않고 스스로 다른 사람을 위해 공헌하는 만족감을 갖는 사람이라면 행복하지 않을 이유가 없는 것이다주의할 것은 공헌이라는 것이 꼭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다왜냐하면 그럴 경우 남들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는 사람들은 쓸모없다고 여길 수 있기 때문이다아들러의 말 중 걸작이 사람은 누구나 같진 않지만 같은 가치를 지닌다는 말이다존재 자체가 누군가에게 공헌이 될 수 있는 것이다.

 

  타인을 위해서 살지 말고내가 남을 위해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하되 그걸 갖는 것은 남에게 맡기는 것연연하지 않는 것이 바로 행복의 지름길이라고 아들러와 철학자는 이야기하고 있다그렇다고 해서 남들에게 늘 미움을 받으라는 말은 아니다하지만 아무리 자신이 노력하더라도 사람들 중 10퍼센트는 나를 싫어하기 마련이니 다른 사람의 생각에 좌우되지 말라는 것이다.

 

  또 한 가지 의문 나는 것은 목표를 갖는 것에 대한 회의다그동안 수많은 자기계발서들은 목표의 중요성을 이야기했다하지만 아들러는 과정 자체에 의미를 두라고 한다순간순간 노력하다 보면 어느새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높은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하지만 목표가 주된 관심이 될 경우 과정이나 수단을 경시하게 될지 모른다인생은 고지에 오르는 것만이 최선이 아니고하루하루 여정 자체가 의미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불편하던 아들러의 이론이 조금씩 나의 것이 되어 가면다른 사람의 시선에서 자유로워지는 내가 될 수 있을까평범한 삶으로 만족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면 경쟁으로부터 자유로운 사회가 될 수 있을까아마도 쉽진 않겠지만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남의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용기를 가진 사람들이 많아진다면 말이다.


원문: http://blog.naver.com/kelly110/220291172122

- 우리가 걷는 것은 누군가와 경쟁하기 위해서가 아니야. 지금의 나보다 앞서 나가려는 것이야말로 가치가 있다네. (107쪽)

- 과제를 분리하는 것은 자기중심적인 것이 아니야. 타인의 과제에 개입하는 것이야말로 자기중심적인 발상이지. 부모가 자식에게 공부를 강요하고 진로와 배우자감까지 간섭한다, 이게 자기중심적인 게 아니면 뭔가. (182쪽)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으려면 어느 정도 거리가 필요하다. 너무 밀착되어 있으면 마주보고 대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거리가 너무 멀어도 곤란하다." 과제의 분리는 타인을 밀어내는 발상이 아닐세. 복잡하게 얽히고 설킨 인간관계의 실타래를 푸는 개념이지. (204쪽)

- 아들러 심리학에서는 양육을 비롯한 타인과의 모든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칭찬은 금물이다’라는 입장을 취한다네. (22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