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라이팅 - 차별화된 비즈니스 글쓰기의 첫걸음
전미옥 지음 / 나무발전소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가진 기업의 이미지는 광고로 형성될 때가 있습니다. 스토리를 가진 광고는 기업의 인상 뿐 아니라 특정 제품에 대한 호감을 갖게 합니다. 그런가 하면 무미건조한 광고들 중에는 효과가 크지 않거나 심지어 거부감을 주는 것도 있습니다. 그만큼 회사가 가진 이야기, 제품이 가진 스토리가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기업에서 제품 관련 미담 사례를 모집하기도 하지요.


  스토리 라이팅은 실제 생활에 있어 뗄 수 없는 것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학창시절에 쓰는 과제뿐 아니라 지금은 기업에서도, 일반 직장에서도 기획안이나 계획서 등이 모두 글짓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물론 소설이나 가벼운 이야기에 비해 형식을 갖추어야 하는 면이 있긴 하지만 잘 구성된 글은 어디에서든 각광을 받습니다.

 

  그러면 이렇게 중요한 스토리를 어떻게 쓰면 좋을까요?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을 생각 나는 대로 종이에 적은 다음 계통화 하여 뼈대를 잡고, 항목을 나누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습니다. 쉽지는 않겠지만 이러한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통해 생각지 못했던 아이디어가 나오기 때문이지요. 물론 기업에서라면 여러 명이 모여 집단지성을 발휘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모인 아이디어를 실제 글로 쓰기 위해서는 자료 수집 단계가 필요합니다. 김훈 씨나 정유정 작가는 방대한 소설을 쓰기 위해 몇 배에 달하는 자료를 수집하고 실제로 발로 찾아다니면서 배우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소설가 김탁환님이 쓴 글쓰기 책에서 집필을 위해 관련 도서 100권을 먼저 구입한다는 이야기를 읽은 기억이 납니다. 아마도 수많은 작가들이 지금도 그런 노고를 남몰래 하고 있을 것입니다.

 

  글은 읽는 사람에 맞게,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이왕이면 유머러스하거나 감동이 있게 씁니다. 제목을 정하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 시작한 글을 길든 짧든 중단하지 않고 끝까지 쓰는 것도 중요합니다. 되도록 어법에 맞는 문장으로 완성해야겠지요? 글쓰기에 관한 책을 읽다 보면 퇴고할 때 소리 내어 읽는 것이 좋다고 하는 말이 공통적으로 나옵니다. 내 입에서 감칠맛 나는 이야기가 남이 읽기에도 좋으니까요.

 

  너무 가식적이지 않고 진솔하며, 물 흐르듯 쓴 것이 좋은 글이 아닐까 합니다. 그렇게 되기까지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겠지요? 책을 많이 읽으면 읽는 시간이 단축되듯 글을 자꾸 쓰다 보면 점점 쓰는 속도가 빨라지는 것 같습니다. ‘나는 글을 못 써.’라고 단정 짓기보다 지금 당장 한 줄의 글이라도 써 보는 것이 앞으로의 미래를 위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사는 동안 글쓰기와 담을 쌓지 않을 거라면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