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옥에서 만난 자유, 셰익스피어 - 독방에 갇힌 무기수와 영문학 교수의 10년간의 셰익스피어 수업
로라 베이츠 지음, 박진재 옮김 / 덴스토리(Denstory)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살면서 입에 올리기 싫어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감옥’이 아닐까 한다. 사는 동안 이곳과는 인연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일 것이다. 종신교수가 되기 위해 셰익스피어를 데리고 첫 발걸음을 했던 로라 베이츠 박사는 그 곳에서 맑고 순수한 영혼들을 만난다. 물론 과거 그들은 끔찍한 범죄를 저질렀고, 감옥에 들어온 후에도 탈옥 시도를 하거나 또 다른 범죄를 저지르기도 했다. 그녀가 들어온 이유는 반드시 교수가 되기 위함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들을 마음의 감옥으로부터 벗어나게 해 주고 싶은 의도도 있었을 것이라 믿는다. 그 도구로 그녀는 셰익스피어를 사용했다.

 

  그녀가 갱생 교육의 일환으로 선택한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에 나오는 인물들의 갈등과 고민들을 읽으며 수감자들은 자신을 비춰보기 시작한다. 그 중 특히 오랜 시간 혼자 독방에서 생활하던 링컨은 학교를 제대로 다니지 않았음에도 뛰어난 통찰력을 발휘해 박사를 놀라게 한다. 급기야 그는 수감인들을 위한 셰익스피어 워크북도 쓰기 시작하는데 그건 후에 찾아온 엄청난 고난을 이길 수 있는 힘을 주기도 하고, 결국 자신의 발자취를 남기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몸은 감옥에 있지만 진정한 자유를 누린 남자 래리 링컨은 박사에게뿐 아니라 나에게도 큰 감동을 주었다. 첫 부분에 비해 갈수록 이 매력적인 죄수에게 빠져들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일반 감옥으로 가 열심히 공부하고 언론의 관심을 받았던 래리는 억울한 일을 당해 혹독한 슈퍼맥스 격리 구역(SHU)으로 되돌아오지만 오히려 박사를 걱정하며 견디라고 이야기하는 여유를 발휘한다. 이 책을 통해 미국 감옥의 분위기를 알 수 있었고, 10대에 수감되어 평생을 감옥에서 살아가는 이들이 한없이 애처롭다는 생각도 들었다. 새 사람이 되었는데도 그들은 감옥에서 나올 수 없다. 신호등 앞에서 어느 쪽으로 갈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 그들에게는 얼마나 큰 자유인지.

 

  책을 읽으며 길든 짧든 감옥 생활을 하고 다시 사회로 나올 이들을 위한 갱생교육이 꼭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우리나라의 갱생 교육 시스템이 어떤지 잘 모르지만 래리가 있는 인디애나주에서는 대학 교육비도 지원 못하는 마당에 수감자들을 교육시킬 수는 없다고 예산을 줄였다. 그 바람에 감옥 안에서나마 공부를 열심히 해 박사가 되길 바라던 래리의 꿈이 무산되긴 했지만 아마도 셰익스피어로 인해 변화된 그는 다른 방법으로 꿈을 이루어 갈 것이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