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의 주거문화 산책
김종인 지음 / 밀알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건물이나 실내 구조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져본 적이 있지만 도시에 대해 알아본 적은 없는 것 같다. 이 책을 통해 도시와 주거 문화를 살펴볼 수 있어서 좋았다. 내가 살고 있는 집과 도시, 그리고 외국의 도시와 건물 등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도시로 몰리는 사람들을 위해 아파트가 수없이 많이 보급되었지만 오히려 그로 인해 인구 밀집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 것을 느낀다. 자연과 더불어 살던 중소도시 사람들까지도 도시로 몰려들면서 거대 도시들이 탄생하게 되었다.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도 있겠지만 이런 인구 집중으로 인해 많은 문제들이 발생한다. 과거 프랑스도 밀집해서 살던 지역에 큰 불이 나 엄청난 피해를 입기도 하고, 미흡한 상하수도 시설 때문에 전염병이 크게 돌기도 했었다. 우리나라도 서울이나 부산 등 대도시들이 급속히 발달해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첫째 원인이 무분별한 건물과 아파트 건축일 것이다. 사실 외국인들이 거대도시를 탐방하고자 여행을 오지만 우리 도시만의 매력이 크게 작용하지 못해 끊임없는 발걸음을 이끌어내지 못한다. 이 책의 저자도 조금만 생각해서 도시를 키워 나갔다면 지금처럼 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한다.

 

  위성도시나 베드타운도 문제가 있다. 사람들이 잠만 자고 도시로 출근하게 될 경우 이동에 따른 환경오염과 시간 낭비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가장 좋은 것은 주거지만 분산할 것이 아니라 상업시설이나 일터, 그리고 녹지를 함께 분산 조성하는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굳이 서울까지 오지 않더라도 근처에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자족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여기에 문화시설이나 관공서까지 더한다면 더 완벽해질 것 같다. 한 예로 든 곳이 일산처럼 넓은 호수공원 주변의 녹지 조성, 아람누리 같은 문화시설, 여러 상업시설, 관공서 등 멀리 가지 않고도 누릴  수 있는 것들이 많은 도시들을 만드는 것이다.

 

  이 책에는 한옥의 장단점도 소개되어 있는데 읽으면서 과거에 태어나지 않은 것을 감사했다. 여성들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했던 과거 한옥이 아파트로 변하면서 여성들의 활동도 더 활발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이 있음에도 온돌이나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나지막한 창문 등 지금까지 우리의 거주지에 남아 있는 조상들의 지혜는 무시하면 안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