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직 독서뿐 - 허균에서 홍길주까지 옛사람 9인의 핵심 독서 전략
정민 지음 / 김영사 / 2013년 6월
평점 :
독서에 관한 책을 좋아하면서도 이 책에 선뜻 손이 가지 않았다. ‘독서가 아무리 좋다곤 하지만 ‘오직 독서뿐’이라니. 그럼 독서를 제외한 다른 건 가치가 없다는 말인가?’ 하는 섣부른 판단 때문이었다. 이 책의 저자가 오죽했으면 오직 독서뿐이라고 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우리나라 옛 성현들의 저서 속에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구절들이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다.
저자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이익, 허균, 이덕무를 비롯해 익숙하지 않은 홍길주, 홍석주라는 형제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저서 중 독서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들을 발췌해 실은 뒤 그에 대한 해설이나 저자의 생각을 덧붙여 이 책을 만들어 냈다. 우리 조상들이 글공부를 중요하게 여기고, 서책을 많이 읽었던 것은 알고 있었으나 책을 신주단지 다루듯 소중하게 여기고, 늘 읽고, 또 읽기를 강조했었는지 미처 알지 못했다. 그들 중 먹을 게 없어 배가 고파도 책만 읽으면 시름이 없어졌다는 이덕무는 아마도 책 사랑의 최고봉이 아닌가 한다.
나도 책 깨나 좋아한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에 등장하는 선조들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니다. 이들이 한결같이 강조하는 것은 책을 읽되 좋은 책을 선별하고, 눈으로만 읽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열어 음식을 먹듯 소화시켜 내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설익은 밥을 먹다 체하기도 하듯 어설프게 읽은 책들을 통해 짐짓 아는 체 하거나 자만하는 것을 가장 경계한다. 일전에 지인의 상사 중에 자신이 읽은 책에 대해 술자리에서 다른 사람은 말도 못 꺼내게 하고는 혼자 몇 시간 동안 일장 연설을 했다는 이야기가 생각났다. 그분 나무랄 것 없이 나도 조금 안다고 아는 체하거나 자만하지 않도록 늘 스스로를 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독서이지만 때로 집안일이나 운동을 하며 기분 전환도 해야 한다고 씌어 있다. 책을 통한 독서만이 다가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의 만남 속에서 그들의 생각을 읽는 것도 넓은 의미에서 독서라고 할 수 있다는 부분을 읽으며 편협된 지식만을 축적하지 않고 넓은 식견을 가진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늘 마음을 열고 귀를 기울이는 자세를 가져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