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불량일기 - 고군분투 사고 치며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대학에서 살아남기
에릭 케스터 지음, 차백만 옮김 / 미래의창 / 2014년 8월
평점 :
품절


  왠지 거리감부터 느껴지는 하버드는 보통 사람들이 범접하기 어려운 대상으로 여겨진다. 수많은 유명인을 배출한 하버드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 학생들에게도 입학이 쉽지는 않다. 미식축구를 하면서도 좋은 성적을 유지하던 에릭은 하버드 합격 메시지를 보고 부모님과 함께 펄쩍펄쩍 뛴다. 나도 동생이 소위 명문대에 합격했을 때 동생과 부모님이 정말 뛰면서 기뻐하시던 모습 아직도 생생해 에릭과 부모님을 상상하기가 어렵지 않았다.

 

  꿈에 부푼 그의 하버드의 첫 해에 생각과는 다르게 우여곡절을 많이 겪게 된다. 이 책은 파란만장한 일 년 동안의 기록을 담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에릭과 함께 하버드의 구석구석을 누비며 탐험하기도 하고, 밖에서 보기에 신비하지만 그 내면에 산적한 수많은 문제들을 들추어내기도 한다. 낙제 수준의 시험 점수를 받고 하버드를 그만둘까 하는 생각을 하기도 한 그는 책 날개에 졸업했다는 내용이 씌어 있는 걸 보면 계속 다닌 모양이다.

 

  그런가 하면 개인적으로는 비율적으로 적은 데다 공부만 하느라 꾸밀 줄 모르는 여학생들 중 여자친구를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그가 직접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글의 재미를 위해 허구를 더했다고 하는 이 책에는 '한 해 동안 어떻게 이렇게 재미난 일이 많았을까' 할 정도로 별 일이 다 일어난다. 그 중 인상적인 것이 기말고사 직전 옷을 다 벗고 함성을 지르며 달리는 ‘프라이멀 스크림’이었다. 하버드생들의 스트레스가 얼마나 컸으면 그런 행사를 통해 해소하고자 할까? 그의 '여자친구 만들기'가 프라이멀 스크림 중 결실을 맺기에 더 특별하게 느껴졌는지도 모른다.

 

  '애더롤'이라는 각성제를 상습적으로 사용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하버드. 들어가기보다 졸업하기가 더 어렵다는 미국의 대학교는 우리나라와는 왠지 다른 풍경일 것 같다. 취업을 위해 도서관 자리를 데우는 수많은 학생들을 떠올리면 우리나라 학생들의 공부열의도 만만치 않음은 이해하지만 그것이 단지 스펙을 쌓아 좋은 회사에 취직하기 위함이라는 것이 마음에 걸린다. 진정한 학문을 위한 대학 본연의 존재 의미는 이제 점점 사라져 가는 것일까?

 

  이 책을 읽다 많이 웃었다. 웃음이 피식 나오는 게 아니라 정말 큰 소리를 내며 웃었다. 에릭의 바보스러운 에피소드들을 상상하기만 해도 재미있기 때문이다. 사건뿐 아니라 그의 툭 내뱉는 듯한 문체도 재미에 한몫 더한다. 불법과 비리가 판치고, 각종 파티의 공짜 술이 넘쳐나는 하버드는 내가 생각했던 것과는 많이 다른 모습이었다. 물론 에릭의 개인적인 경험이므로 모두가 그렇게 지낸다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읽으면서 하버드가 그렇게 오랫동안 세계의 최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데는 이유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하버드에 대해 궁금한 사람들의 갈증을 어느 정도 해소시켜 줄 것이다. 묘한 건 이 책을 읽다가 내가 책으로 쓰고 싶은 이야기가 떠올랐다는 것이다. 나에겐 여러 가지로 의미있는 책이다.

- 하버드에서 부정행위는 뛰어난 학업 성과만큼이나 전통이 깊었다. 거짓말, 컨닝, 배신은 하버드에서 늘상 일어나는 일이었고, 하버드가 뛰어난 정치인들을 유달리 많이 배출한것도 어쩌면 그 때문일지도 몰랐다. (104쪽)

- 그녀는 등을 곧게 펴고 앉아서, 사람들과 얘기할 때면 상대방의 눈을 정면으로 응시했다. 상대방의 말에 진정으로 귀를 기울이는 모습이었다. 그녀의 표정에는 다른 하버드 학생들에게서는 볼 수 없는 진정성이 묻어났고, 그녀의 이러한 태도에 맞은편에 앉은 두 남학생은 신이 났다. (129쪽)

- 하버드 학생들은 심하다 싶을 정도로 타인을 냉정하게 평가한다. 학문적으로 뛰어난 재능을 보이는 까닭도 이런 비판적인 성향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지나치게 냉정하고 비판적이란 건 뒤집어 얘기하면 다른 사람의 부족함을 처참하게 깔아뭉갠다는 말이기도 하다. 교내 신문에 기고한 기사, 그림 전시, 아카펠라 공연 같은 사소한 일에서조차 흠을 잡아내서 비난한다. 한마디로 하버드에서 공개적으로 작품을 전시하거나 공연을 하려면 완벽해야 했다. (28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