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의욕이 아이의 의욕을 꺾는다
오야노 치카라 지음, 장은주 옮김 / 예담Friend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지금까지 아이들을 내 마음대로 재단하고 바꾸려 했던 마음이 없다면 거짓말일 것이다. 아이들을 소유물로 생각하고 아이들의 의사를 존중하기보다 내가 하는 대로 정해 놓고 따르기만을 강요하진 않았는지 이 책을 읽는 동안 반성하게 되었다. 아이들이 정말 하고 싶어 하는 것이 내가 생각하기에 가치 없어 보일 때 하지 못하게 하고, 유익해 보이는 것만 강요했던 일들이 떠올랐다.

 

  이 책에서는 아이들이 하고자 하는 것이 있을 때 그것을 할 수 있도록 지켜보고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아이들이 이렇게 몰입하는 활동은 한 가지에 머무르지 않고 또 다른 것으로 옮아가면서 관심과 지식의 밑거름을 완성해 나가기 때문이다. 높이 쌓기만 하는 지식은 언젠가 와르르 무너질 수 있지만 아이 스스로 몰입해서 쌓은 지식들은 넓은 들판처럼 지식의 토대가 되어 어른이 되었을 때 보다 창의적이고 스스로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주적인 어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부모가 원하고 강요하는 일만 하던 아이가 스스로 학습하는 것을 터득하는 일은 쉽지 않다. 처음부터 엄마의 잣대만으로 아이들을 재단하기보다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인정하고 북돋워 주고 그것이 또 다른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옮아가도록 도와주어야겠다. 지금 막내가 가루쿡을 열심히 하고 있는걸 보면서 딸이 찍은 동영상을 유튜브에 함께 올리기도 하고, 재료를 준비해 주기도 한다. 그전에 아들에게 공부 안 하고 비행기 만든다고 핀잔 주었던 게 너무 미안해진다.

 

 



 

 

--- 본문 내용 ---

 

- 아이의 몸을 억지로 잡아당겨 키를 늘릴 수 없듯이 능력도 억지로 늘릴 수 없다. 키도 좀처럼 자라지 않는 시기가 있고, 단번에 쑥쑥 자라는 시기가 있다. 자기관리력이나 지식도 마찬가지다. (43쪽)

 

- 아이에게는 아이 자신의 인생을 살아갈 권리가 있다. 엄마는 그 인생을 잠깐 맡아서 돌보고 있을 뿐이다. … 아이 자신이 하고 싶어 하는 것을 소중히 여기며 최대한 도와주는 것이 엄마의 의무다. (49-50)

 

- 자녀 교육에서는 면학의 욕망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결국 책을 등에 짊어진 당나귀를 키우는 꼴이 되고 만다. -미셸 몽테뉴 (52쪽)

 

- 자녀교육의 핵심은 지식을 넓히는 것이 아니라 자존감을 높이는 데 있다. -레오 톨스토이 (134쪽)

 

- 사람이 사람을 바꾸려 하거나 조종하려는 자체가 이상한 일이다. … 애초에 자신 이외의 사람을 자기 마음대로 바꿀 수는 없다. 바꿀 수 있는 것은 본인밖에 없다. … 그러니 ‘아이를 이렇게 만들어야지’, ‘이렇게 시켜야지’ 하는 지나친 생각은 접자. 대신 엄마가 아이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하자. 남을 바꿀 수는 없어도 내가 바뀜으로써 남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는 있기 때문이다. (169쪽)

 

- 혼날 행동을 했더라도 누군가와 비교당하며 혼나는 것은 그냥 혼나는 것보다 훨씬 큰 상처가 된다. 누군가와 비교당하며 “넌 안 돼!” 라는 말을 듣는 것 자체가 아이에게는 엄청난 스트레스인 것이다. 특히 형제와 비교하는 것은 금물이다. ‘어쩌면 난 동생만큼 사랑받지 못하고 있는 건 아닐까’ 하고 엄마를 향한 불신감과 애정결핍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18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