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를 심은 사람
장 지오노 지음, 마이클 매커디 판화, 김경온 옮김 / 두레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래 전 단편영화로 인기를 끌었던 동명의 영화를 얼핏 본 적이 있다. 손으로 다 그려서 만들어 상도 많이 받았다고 했는데 당시에는 별로 감동이 없었다. ‘나무를 심는 게 뭐가 그렇게 대단하다고?’하는 생각마저 했었던 것 같다. 그런데 이 내용을 책으로 다시 보니 묵묵히 나무만 심으며 50대 이후의 삶을 산 주인공 부피에가 성자에 가까운 생활을 한 것 같아 정말 존경스럽고 놀라웠다. 나도 철이 들었나보다.
이 책은 단편이라 사실 내용이 굉장히 짧다. 작가는 일부러 주저리주저리 다 이야기해주지 않고 핵심만 짚어서 들려주기 때문에 오히려 전달이 잘 되는 것 같다. 책의 중반에 이미 이야기가 끝나 이상하다 했더니 편집자의 말과 역자의 말이 굉장히 길었다. 그 부분을 통해 환경오염이 얼마나 심각한지 그리고 장 지오노의 작가로서의 역량 등을 알게 되어 굉장히 유익했다.
얼마 전 사막에 숲을 만든 중국 여인의 이야기를 감동적으로 읽은 적이 있어 이 책의 내용이 더 각별하게 다가왔다. 다른 사람을 위해 묵묵히 나무를 심는 훌륭한 사람들의 대열에 나도 끼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환경을 늘 생각하고 작은 것부터 실천하도록 해야겠다. 나무를 심는 것뿐만 아니라 늘 다른 사람들을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내가 되어야겠다.
--- 본문 내용 ---
- 평화롭고 규칙적인 일, 고산지대의 살아 있는 공기, 소박한 음식, 그리고 무엇보다도 마음의 평화가 이 노인에게 놀라우리만큼 훌륭한 건강을 가져다주었다. (55쪽)
- 주인공 부피에는 자신의 체험을 통해 어떤 ‘작은 사람’도 영웅적인 인간의 크기로 드높여질 수 있다는 것을 깨우쳐 준다. 그리고 참으로 세상을 변화시키고, 이 세계를 아름답게 바꾸어 놓는 것은 권력이나 부나 인기를 누리는 사람들이 아니라 남을 위해 일하는 사람이라는 것을 깨우쳐주고 있다. -편집자의 말 (55쪽)
- 그는 첫 원고를 쓴 후 약 20년 동안에 걸쳐 이 글을 다듬고 또 다듬어 작품을 완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집자의 말 (78쪽)
- 가난 때문에 16세부터 은행에 취직하여 생계를 이어가야 했던 그는 독학으로 많은 고전을 읽으며 작가로서의 습작 기간을 가졌다. 그는 거의 18년 동안 은행원으로 일하면서 시를 먼저 발표하고 시집도 간행했으나, <<언덕(Colline)>>을 발표하면서부터 역량 있는 신예작가로 문단의 주목을 받는다. 특히 앙드레 지드로부터 큰 촉망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전업 작가로 나서서 1970년 75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지칠 줄 모르는 창작열로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여 20세기 문단의 최대 작가들 가운데 한사람으로 위치를 굳힌다. -옮긴이의 말 (112쪽)
- 책 쓰기에서 존재 이유와 행복해지는 방법을 발견한 사람일 테고, 우리 독자들은 행복한 노래든 불행한 노래든 인간의 영원한 고향인 자연의 노래 소리를 들려주는 지오노의 책읽기에서 행복해지는 방법을 조금이라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옮긴이의 말 (12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