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 않는 열다섯은 없다 다산책방 청소년문학 16
손현주 지음 / 다산책방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이 책을 보내주신다는 출판사의 메일을 받았다. 열다섯 소년의 사연이 궁금해 보내주시라고 했다. 토요일 아침, 스터디 카페에 앉아 단숨에 읽었다. 마음 아프고도 희망적인 이야기였다. 책을 읽다 보니 ‘개를 훔치는 완벽한 방법’이라는 소설이 떠올랐다. 그 책에서도 집 나간 남편으로 인해 가난과 슬픔에 내몰린 가족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남편의 사망 이후 우울증을 앓는 부인과 우울증 극복을 위해 하나씩 집에 들인 유기견 열일곱 마리, 그리고 그녀의 아들과 딸이 등장한다. 이야기는 아들 주노의 관점에서 진행된다.


개 열일곱 마리와 함께 거리로 내몰린 주노 가족의 답답한 현실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반지하 빌라에서 그 많은 개를 키운 것도 신기하고, 아무 대책 없이 거리로 나앉은 것도 나로서는 상상할 수 없다. 저자는 마지막 말에서 실제 이런 사연이 실린 기사를 보고 소설의 모티프로 삼았다고 했다. 하나의 기사가 소설이 되는 순간이다. 작가의 상상은 이어진다. 운 좋게 명문 중학교에 다니던 소년이 버려진 버스에서 살게 되고, 그를 괴롭히던 아이들 무리 때문에 힘든 학교생활을 계속한다. 통영에서 전학 온 예지와 마음이 잘 맞지만 효재 무리에게 함께 괴롭힘의 대상이 된다. 이어지는 크고 작은 문제 상황에도 별 신경 쓰지 않는 담임 선생님에 대한 불만이 쌓이던 중 큰 결심을 하게 된다.


이야기의 시작부터 열일곱 마리나 되는 개로 인해 갑갑한 상황이 이어졌다. 그중 새우라는 강아지는 심장병까지 있음을 알게 되지만 비싼 약을 먹일 수도 제대로 된 치료를 받게 할 수도 없다. 힘들지만 개들을 다시 유기견 보호소나 거리로 내몰 수 없는 상황에 놓인 주노의 갈등에 마음이 아팠다. 한때 어머니가 도왔던 이모의 집에 들어갈 수도 있지만 많은 개들과 함께는 불가능한 일이었고, 이모에게 용돈을 받아 쓰는 그들에게 개를 키우는 것은 사실 사치였다.


학교폭력과 가정의 문제, 그것을 오롯이 혼자 감당하는 소년의 외로움이 전해져 읽는 내내 마음이 아팠다. 하지만 예지나 동물 병원 집 아들이자 반장인 호영, 주짓수 관장님과 같은 도움의 손길이 있어 다시금 마음이 따스해져 왔다. 교사 입장에서 혹시라도 이런 고통을 당하고 있는 학생들이 있지는 않은지 늘 살펴야 할 것 같다. 돈이 학벌을 만들고, 가난이 대물림되지 않는 사회가 되도록 관심을 가져야겠다. 자신만 고통을 겪는다는 생각을 가진 청소년, 그리고 선생님들에게 이 소설을 권하고 싶다.


* 목소리 리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